[스크랩] 추녀 치목 및 조립 현장 추녀 치목 및 조립 현장 추녀는 건물 모서리에 걸리는 방형 단면의 부재이다. 추녀의 단면은 정확한 방형이라기 보다는 폭보다는 높이가 약간 더 높고 역사다리꼴로 다듬어진다. 추녀 말구는 직각으로 자르는 것이 아니라 약간 빗 자른다. 추녀가 밖으로 빠져나오는 깊이는 처마깊이에 달려있다. 추녀..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평고대 치목 및 조립현장 평고대 치목 및 조립현장 서까래나 부연 위에는 추녀에서 추녀, 사래에서 사래를 연결하는 긴 횡부재가 걸리는데, 이를 평고대라고 한다. 겹처마인 경우에는 추녀 위에 것을 그냥 평고대(초매기), 부연 위에 것을 부연평고대(이매기)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평고대의 곡에 맞추어 선자서까래와 평서까..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왕지도리의 치목 및 조립현장 왕지도리의 치목 및 조립현장 귓기둥에 직교하는 도리로서 뺄목부분은 서로 연귀반턱맞춤으로 한다. 평주에 조립되는 부분은 보의 숭어턱에 맞춰서 따낸다. 8각,16각,32각....(이렇게 깍지 않으면 똑바로 깍을 수가 없습니다) 우측은 목재소에서 제재해서 온 8각부재. 부정확한 8각형입니다. 원형으로 치..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갈모산방의 치목 및 조립현장 갈모산방의 치목 및 조립현장 갈모산방은 추녀 옆에 대고 또한 도리 위에 놓여서 선자서까래의 앙곡을 잡기 위한 부재이다. 그 길이는 선자연의 수와 선자연의 앙곡에 따르고, 갈모산방의 높이는 추녀의 춤과 선자서까래의 지름 및 선자서까래의 흰 곡률에 따라 달리하지만 대체로 추녀끝을 들어올리..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사래 치목 및 조립 현장 사래 치목 및 조립 현장 홑처마인 경우에는 추녀 하나면 되지만 겹처마인 경우에는 추녀처럼 생긴 사래를 추녀 위에 턱을 깍아 안장시킨다. 그리고 이매기의 곡을 잡아 부연을 단다. 사래 현촌도 사래를 추녀위에 앉히기 위해 우선 초매기의 끝부분을 정리한다. 추녀위를 깍아 사래가 앉을 턱을 만든..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팔작지붕 합각부의 박공 설치 작업 현장 팔작지붕 합각부의 박공 설치 작업 현장 지붕위 용마루 옆면에 삼각형 벽으로 꾸민 부분을 합각이라고 한다. 여기에 '人'자모양의 판재가 걸리는 데 이것을 박공이라 한다. 박공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합각의 위치 결정을 해야한다. 합각의 위치결정은 종도리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종도리 ..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벽부(壁付) 벽부(壁付) 다포집에서 주두와 주두 사이에 소첨차, 대첨차, 장여를 설치한 후 평방 위에 흙벽을 친다. 사찰에서는 이 부분에 불화를 그려 불벽이라 하나 궁궐에서는 포벽이라 하며 여러 가지 당초문양을 그렸다. 궁궐의 정전이나 편전 등 중요 건물의 포벽은 흙벽을 치지 않고 주심소첨차와 주심대첨..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수장드리기 현장 수장드리기 현장 집을 지을 때 방, 마루, 광, 창 등을 만들거나 구조를 바꾸어 꾸미는 것을 '드리기'라 한다. 여기서의 수장드린다는 뜻은 벽체 및 창호의 골격을 형성하고 마루를 놓는 것을 말하며 그 재료를 수장재(修粧材)라 부른다. 벽체와 창호에 관한 수장재에는 기본적으로 상인방, 중인방, 하인..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우물반자 꾸미기 작업 현장 우물반자 꾸미기 작업 현장 반자(盤子,班子)는 지붕 밑이나 상층바닥 밑을 장식하는 것을 말하며, 우물반자는 우물 '井'자형으로 반자 틀을 짜서 꾸민 천정을 말한다. 우물반자를 짜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여기에서는 가로 방향의 반자틀은 보와 보사이를 건너지르고 세로방향의 반자틀은 칸..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
[스크랩] 우물마루 깔기 작업현장 우물마루 깔기 작업현장 우물마루는 "귀틀'과 '청판'으로 구성된다. 귀틀에는 '장귀틀'과 '동귀틀'이 있다. '장귀틀'은 앞 기둥과 뒤편 기둥 사이에 대들보와 같은 방향으로 거는 귀틀이며 '동귀틀'은 장귀틀 사이에 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거는 귀틀이다. 툇마루의 경우는 동귀틀이 장귀틀보다 길다. '청.. 전통주택/한옥의 치목 200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