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우리의 자랑 황룡사9층목탑(1) * 註 이 글은 출처를 알 수 없는 여러 웹문서들과 문화재청에서 미륵사지를 발굴.조사한 김홍식님의 글을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이 땅에서 이름없이 묵묵히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고 가꾸며 그 맥을 이어가고 있는 무명 목수님들에게 바치는 글입니다. 1. 글 머리에 지금으로부터 1400년 전인 서기 645년에.. 전통주택/불상및 탑의 종류 2006.04.21
[스크랩] 집터 풍수 집터(宅基)풍수 차례 1.지리론(地理論) (1) 선관수구(先觀水口) (2) 배산임수{背山臨水} (3) 청룡.백호{靑龍.白虎} (4) 야세{野勢} (5) 산형{山形} (6) 토색{土色} (7) 조산{朝山}.조수(朝水) 2.생리론(生利論) 3.교통론(交通論) 4.산수론(山水論) 제1장 집터(宅基)풍수 풍수지리의 본질은 천지의 기[氣]를 땅을.. 전통주택/불상및 탑의 종류 2006.04.21
[스크랩] 불상 참고자료 불상의 종류 불상이란? 불상이란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붓다-프라미타(buddha-pratima)라 하는데, 프라티마(pratima)란 말은 모방 또는 모사를 뜻하는 동사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불상이란 말은 본래 부처님의 참모습을 모방, 모사한 것이라는 뜻에서 부처님의 형상을 그림이나 조각으로 나타낸 것을 일컫.. 전통주택/불상및 탑의 종류 2006.04.21
[스크랩] 불상 참고자료 불상의 종류 불상이란? 불상이란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붓다-프라미타(buddha-pratima)라 하는데, 프라티마(pratima)란 말은 모방 또는 모사를 뜻하는 동사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불상이란 말은 본래 부처님의 참모습을 모방, 모사한 것이라는 뜻에서 부처님의 형상을 그림이나 조각으로 나타낸 것을 일컫.. 전통주택/불상및 탑의 종류 2006.04.21
[스크랩] 불상 참고자료 불상의 종류 불상이란? 불상이란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붓다-프라미타(buddha-pratima)라 하는데, 프라티마(pratima)란 말은 모방 또는 모사를 뜻하는 동사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불상이란 말은 본래 부처님의 참모습을 모방, 모사한 것이라는 뜻에서 부처님의 형상을 그림이나 조각으로 나타낸 것을 일컫.. 전통주택/불상및 탑의 종류 2006.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