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의 종류
불상이란?
불상이란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붓다-프라미타(buddha-pratima)라 하는데, 프라티마(pratima)란 말은 모방 또는 모사를 뜻하는 동사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불상이란 말은 본래 부처님의 참모습을 모방, 모사한 것이라는 뜻에서 부처님의 형상을 그림이나 조각으로 나타낸 것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보통 불상을 포함하여 보살상, 신장상, 조사상 등 불교에 나타나는 모든 존상을 통틀어 말한다.
부처님 모습을 조성한 것이 언제 어디서 처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종교적
입장에서 경전에 따르면 부처님이 이 세상에 계실 때 이미 불상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증일아함경등 여러 경전에 따르면 부처님이 하늘 나라에 올라가 마야 부인을 위해 설법하시는 동안 부처님을 사모하던 코삼비 나라의 우다야나(Udayana)왕에 의해서 처음으로 만들어져 공양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미술사적인 입장에서는 이러한 경전의 내용은 불상이 만들어진 후에 꾸며진 전설이며 지금까지 얻어진 고고학적 자료에 의하면 불멸 후 5세기가 지나서 서력기원을 전후한 무렵에 인도의 간다라(Gandhara) 지방과 마투라(Mathura) 지방에서 각각 불상이 조성되었다고 한다. 이 두 곳에서 불상이 출현하고 있는 사실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고 있으나, 불상이 불멸 후 5세기가 지난 후에 간다라와 마투라에서 거의 동시에 만들어진 연유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려왔다.
현재는 간다라지방과 마투라 지방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거의 동시에 발생하여 점차 주위로 번져 갔다는 설이 유력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불상 출현(出現)의 배경(背景)에 관한 견해 중 널리 받아지는 것은 대승불교의 흥기와 더불어 불상이 조성되었다는 견해와 더불어 B.C. 4세기후반에 알렉산더가 인도 서북부 간다라 지방을 정복하였을 때 그리이스의 신상(神像) 조각이 들어오면서 직접적으로 불상의 조성에 크게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
부처님이 열반에 들자 그를 따르던 제자와 일반 신도들은 부처님을 기리는 마음에서 사리(sarira)를 봉안한 탑을 세우거나, 생전에 부처님과 인연이 깊은 곳에 기념물을 세우고 예배 공양하고 탑의 동서남북의 네 곳에 탑문(塔門)과 난간(欄干)에는 부처님의 생애나 부처님의 전생이야기(本生談,jataka)를 부조로 새겨놓았으나 이 곳에도 직접적인 부처님의 모습은 표현하지 않고 탑이나 성수(聖樹), 윤보(輪寶), 삼보표지(三寶標指), 불족적(佛足蹟), 불좌(佛坐) 등 부처님의 존재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대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처님의 직접적인 표현이 나타나지 않는 시기를 일러 이른바 무불상(無佛像) 시대라고 한다. 상징적 표현은 실재(實在)하는 부처님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또한 부처님의 일생 가운데 특히 중요한 사건들을 암시하고 있어, 기능면에 있어서도 역사적이고 전기적인 동시에 설화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상징물은 부처님의 생애나 전생에 관련된 이야기를 설명하는데 빈번히 나타나며, 이 때 다른 인물들은 사람의 형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구체적인 형상을 지닌 사람들 중에 오직 상징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는 부처님의 존재는 보다 큰 순수성과 정신성을 나타내는 극적인 대비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상징적 표현은 처음에는 스승에 대한 존경의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나 점차 의식적인 행위로
바뀌면서 초월자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행하여졌다. 그러다가 마침내 상징적 표현은 인간의 형상을 갖추게 되고, 이것을 교리적으로 불타관(佛陀觀) 내지는 불신관(佛身觀)의 변화라고 일컫는다.
불상
석가불상 : 불교의 교주인 석가모니 불을 형상화 , 문수, 보현보살이 협시
비로자나불상Vairocana : 진리 그 자체, 진신, 법신, 화엄경의 주존불, 문수, 보현보살이 협시, 대광명전, 대적광전
아미타불상 : 영원한 수명amitayus과 무한한 광명amitabha을 보장, 서방극락을
주재, 정토삼부경, 관음, 세지보살 혹은 관음, 지장 또는 8대 보살(관음,세지,문수,보현,금강장,제장애,미륵,지장)이 협시, 무량수전,극락전, 아미타전
약사불상 : 약사경에서 유래, 총지종에서 신봉, 손에 약합이나 보주를 들고 있음, 일광,월광보살,약사 12지신장이 협시, 약사전,
미륵불상Maitreya : 미래불, 원래 도솔천을 주재하는 보살인데 56억 7천만년 후가 되면 석가불이 미처 제도하지 못한 중생들을 모두 구제하기 위해서 용화수 밑에 부처의 모습으로 내려와 세번 설법하여 모든 중생들을 남김없이 제도한다는 것, 청광, 신광 보살이 협시, 용화전, 미륵상생경(오른손을 턱에 괸 사유인, 반가자세), 미륵하생경(용화수인,의좌세, 16장 혹은 대불), 미륵정토경, 법상종,
방위불(方位佛)
4방, 8방, 10방 등 방위는 계절과 함께 우리 인간생활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나쁜 일이건 여러 방면으로부터 들어오기 마련이다. 좋은 일은 즐겨 받아들이고 나쁜 일은 끝까지 막아야만 살 수 있기 때문에 예부터 방위에 대한 믿음이 깊지 않을 없었다. 방위를 최소한으로 나누면 동서남북의 4방이고, 여기에 상하를 합치면 10방이 된다. 자기 이외의 모든 우주는 이 10방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가령 불교에서 시방세계라는 말을 즐겨 쓰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우주 전체를 상징하는 말이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방위신앙도 습합하여 4방에 부처님이 상주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 부처님을 흔히 4방불이라 부르는데, 4방불은 경전이나 종파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6세기부터 4방불이 생겨났다. 백제의 예산사방불이 가장 최초이며, 경주에 있는 탑곡마애불, 즉 신안사 4방석주불은 7세기 당시의 상황을 알려주는 4방불이다. 금광명경과 관불삼매해경의 경전에서 유래하는 것으로는 동의 아촉, 남의 보상, 서의 무량수, 북의 미묘성불 등이 있다. 8세기 중엽부터의 4방불은 좀 다르게 표현된다. 다라니집경이나 공작왕주경과 약사신앙의 영향으로 동에는 약사가 나타난다. 유명한 굴불사의 4방불, 경주남산의 칠불암 4방불 등이 이에 속하며, 그 이후부터 탑의 1층탑신 4방불에도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4방불의 사상을 발전시킨 밀교는 중앙에도 부처님을 두어 4방불을 통괄하는 본존불로 삼았다. 중앙불은 경마다 다르지만 일자불정륜왕경 과 같은 경전에서는 석가불로 대일경 등에서는 비로자나불로 보고 있으며, 칠불암에도 이러한 5방불이 나타나고 있다.
천불(千佛)
대승불교의 위대한 특징은 어느 때 어느 곳에서 누구나 다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철저한 평등주의
사상이다. 이 점을 단적으로 나타낸 것이 천불이다. 즉 과거에도 천불, 현재에도 천불, 미래에도 천불이 있다는 것으로 어느때나 무한한 부처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대승불교의 특징을 웅변해주는 이러한 천불은 예부터 많이 조성되어 예배되었다. 유명한 고구려의 연가7년명불상, 성주사의 소조3천불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보살상
문수보살상 : 지혜 상징, 화엄경, 반야경에서 강조, 경을 들고 사자를 타고, 석가불과 비로자나불을 협시 관음보살상Avalokitesvara : 자비의 화신, 대승경전에서 가장 인기있는 보살, 아미타불 또는 석가불 협시, 관음이 사원의 주불일때 원통전, 부속 불전일 때 관음전, 보관에 아미타불, 손에 정병이나 버들가지.
보현보살상 : 대행 상징, 흰코끼리, 법화경이나 화엄경에 우두머리 보살로 나타남
대세지보살상 : 보관에 보병을 새기거나 손에 보병이나 연꽃, 아미타불 협시
일광, 월광보살상 : 이마나 보관에 해와달을 표현, 약사불 협시
미륵보살상 : 33천의 하나인 도솔처능 을 주재하는 보살 유가유식하을 체께화시킨 학승의었는데 벗아종의 교조로 신비화되어 보살로 변신한 것이다.감산사의 미륵보살상, 용장사의 미륵존상, 반가사유상, 입상, 좌상, 오른손 사유인이나 용화수 꽃을 들고 있는 용화수인
지장보살상 : 윤회에 끝없이 방황하는 중생들을 정토의 극락세계로 이끌어 주는 구세주, 신라 경덕왕 진표율사에 의해 신앙되어 고려때 더욱 환영받음. 조선시대에는 명부전이 보편적으로 세워져 열심히 예배했다. 머리카락을 완전히 깍거나 두건을 쓰고 손에는 보주와 석장을 든다. 대표작으로 선운사의 금동 지장보살상
신장
신중은 안으로는 부처님께 귀의하여 수행 정진하고 밖으로는 불법 수호의 역할을 원력으로 삼고있는데 그 시원은 인도의 제석이나 범천신앙에서 부터 비롯. 우리 나라에서도 불교의 유입과 더불어 이같은 신앙이 널리 퍼졌는 바, 삼국시대에 많은 호법수호신이 탑상이나 조각상으로 조성되어 오늘날에 까지 남아 있는 것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신중신앙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변모와 발전을 거듭해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상당한 수준의 토착화를 이루어내었다. 신장의 형상은 특성상 무사나 역사의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얼굴 표정은 위엄에 차 있으며 몸체나 몸짓 또한 대단히 장엄하고 그 종류도 다양하게 전개된다.
나한, 조사
나한 : 부처를 믿고 따르는 수많은 제자들, 석굴암의 10대제자상,16나한상을 모신 응진전, 500나한을 모신 500나한전
조사상 : 역대의 고승들, 봉한한 곳은 조사전, 흥륜사의 10성, 의상 및 원효상 들은 신라의 걸작품임이 분명하나 남아 있지 않다. 현존하는 것으로는 해인사의 희랑조사상, 화엄사4사자탑의 연기조사상 등.
불상의 표현형식
불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자 불상조성은 불교미술의 중심을 이루면서 활발히 이루어진다. 인도의
간다라(Gandhara)와 마투라(Mathura) 에서 시작된 불상 형식은 불교사상의 발달과 더불어 불교
존상 전체에 걸쳐 매우 복잡하고 독특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불교문화권에서 조성된 불상들은
나름대로 가다듬어지면서 일정한 공통된 원칙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법식을 일러
조상의궤(造像儀軌)라 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부처님을 표현하는 방법인 32상 80종호이다.
32상 80종호란 부처님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부처님만이 지닌 독특한 용모 이른바
특상을 일러 말한다. 이러한 부처님 용모의 특징은 경전마다 조금씩 다르며 실제로 불상을 조성할
적에 이 특징이 다 표현되는 것도 아니다.
본래 이러한 특상관이라는 것은 인도의 베다 시대부터 있어온 관상에서 유래한다.
예컨대 부처님의 특징 중의 하나인 육계상은 산스크리트어로 우스나샤(usnisa) 라 하여
머리장식을 붙일 수 있는 머리칼이란 뜻이다.
따라서 출가 성도한 부처님에게 머리장식이란 있을 수 없으니 불상의 모델인 인도의
왕상귀인(王相貴人)의 모습을 빌어 나타내고 있었으며 민상투의 표현이 점차
양식화되면서 끝내는 오히려 큰 상투라는 의미를 잃어버리고 정수리에 상투처럼
산이 솟아 올랐다는 육계의 의미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렇게 인도의 특상관(特相觀)이 불교에 수용되어 부처님의 위대함을 신체적 특징에서도
나타내게 된 32상80종호는 실제면에서 불상 양식의 진전에 의해 내용과 의미가 바뀌면서
끝내는 불상의 특상관으로서 불상 제작에 있어서 어떤 제작을 가하게 되어 불상만이
지니는 독특한 양상을 유지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우선 부처님의 모습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32길상에 대하여는 중아함경(中阿含經)과
방광대장엄경(方廣大莊嚴經)에 그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32상 80종호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임 32상보다 더 구체적으로 모습을 세분한 것으로 수상(隨相), 소상(小相)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부처님의 모습뿐 아니라 성격, 음성, 행동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일찌기 부처님의 상호가 이러하며 어리석은 이들은 오로지 그
상호를 관상(觀償)하고 신심으로 부처님을 염송하는 방법으로도 더 없는
삼매(無上三昧)에 이를 수 있다고 설하였으니,........
32상
1. 정유육계(頂有肉髮) : 정수리에 육계가 있다.
2. 나발우선 기색감청(螺髮右旋 其色紺靑) : 소라같은 머리칼이 오른쪽으로 돌아오르고 그 빛은
검푸르다.
3. 액광평정(額廣平正) : 이마가 넓고 평평하며 바르다.
4. 미간호상 백여가설(眉間毫相 白如珂雪) : 눈사이의 터럭상은 희기가 흰 마노나 눈과 같다.
5. 첩여우왕(睫如牛王) : 속눈썹이 소의 그것과 같이 길다.
6. 목감청색(目紺靑色) : 눈는 검푸른 색이다.
7. 유사십치(有四十齒) : 마흔 개의 이가 있다.
8. 치밀이부소(齒密而不疎) : 이가 빽빽하고 성글지 않다.
9. 치백여군도화(齒白如軍圖花) : 이가 군도화처럼 희다.
10. 범음성(梵音聲) : 대범천왕의 음성이다.
11. 미중득상미(味中得上味) : 맛 중에서 가장 좋은 맛을 얻는다.
12. 설연박(舌軟薄) : 혀가 부드럽고 얇다.
13. 협여사자(頰如獅子) : 볼이 사자와 같다.
14. 양견원만(兩肩圓滿) : 두 어깨가 둥글고 원만하다.
15. 신량육촌(身量六寸) : 몸의 길이가 7팔굽이(14뼘)이다.
16. 전분여사자왕억(前分如獅子王臆) : 앞 가슴이 사장왕의 가슴과 같다.
17. 사아교백(四牙皎白) : 네 어금니가 희디희다.
18. 부체유연세활 자마금색(膚體柔軟細滑 紫磨金色) : 피부가 부드러우며 곱고 매끄러운데
자마금빛이다.
19. 신체정직(身體正直) : 몸이 바르고 곧다.
20. 수수과슬(垂手過膝) : 손을 늘이면 무릎을 지난다.
21. 신분원만 여니구타수(身分圓滿 如尼拘陀樹) : 몸의 각 부분이 원만해서 니구타나무와 같다.
22. 일일모공 개생일모(一一毛孔 皆生一毛) : 하나하나의 털구멍에 다 털이 나지만 모두가 한
터럭과도 같다.
23. 신모우선상비(身毛右旋上飛) : 몸의 털이 오른쪽으로 말려 오른다.
24. 음장은밀(陰藏隱密) : 음경이 음밀하게 숨어 있다.
25. 비퇴장(脾腿長) : 넓적다리가 가지런하고 길다.
26. 장여이니녹왕(腸如伊尼鹿王) : 창자가 이니사슴왕 같다.
27. 족흔원정 족지섬장(足昕圓正 足指纖長) : 복사뼈가 둥글고 바르며 발가락이 가늘고 길다.
28. 족부융기(足趺隆起) : 발등이 솟아 올라 있다.
29. 수족유연세활(手足柔軟細滑) : 손발이 부드러우며 곱고 매끄럽다.
30. 수족지개망만(手足指皆網輓) : 손발가락에 모두 갈퀴가 있다.
31. 수족장중각유윤상 곡망원비 천폭구족 광명조요(手足掌中各有輪相 穀輞圓備 千輻具足
光明照耀) : 손발바닥 가운데 각기 바퀴 모양이 있는데 바퀴테가 잘 갖추어져 있으며 천 개 의 바퀴살이 있고 빛이 반짝거린다.
32. 족하평정 주편안지(足下平正 周遍案地) : 발바닥이 평평하고 반듯하여 두루 땅을 편안하게
한다.
80종호(相)
1.정수리가 보이지 않음(無見頂)
2.코가 높고 곧으며 김(鼻直高好孔不現)
3.눈썹이 초생달 같고 짙푸른 유리색임(眉如初生月紺琉璃色)
4.귓바퀴가 쳐짐(耳輪成)
5.몸이 견실함(身堅實如那羅延)
6.뼈끝이 갈고리 같음(骨際如銅銷)
7.몸을 한 번 돌리면 코끼리왕과 같음(身一時回如象王)
8.발걸음이 4촌임(行時足去地四寸而印文現)
9.손톱은 적동색이며 얇고 윤택함(瓜如赤銅色薄而潤澤)
10.무릎 뼈는 단단하고 원만함(膝骨堅箸圓好)
11.몸이 깨끗함(身淨潔)
12.몸이 유연함 (身柔軟)
13.몸이 곧음(身不曲)
14.손가락이 길고 섬세함(指長纖圓)
15.손금이 장엄함(指文莊嚴)
16.맥이 깊음(脈深)
17.복사뼈가 보이지 않음(不現)
18.몸이 윤택함(身潤澤)
19.스스로 몸을 지탱함(身自持不委陀)
20.몸이 갖추어져 있음(身滿足)
21.정신도 갖추어져 있음 (識滿足)
22.위의(威儀)도 구족함(容儀備足)
23.있는 곳이 평안함(住處生意和悅輿語)
24.위엄스러움(威震一切)
25.즐겁게 봄(一切樂觀)
26.얼굴 크기가 적당함(面不大長)
27.용모가 단정함(正容貌不효色)
28.얼굴이 구족함(面具足滿)
29.입술이 붉음(盾赤如보婆果色)
30.목소리가 깊음(音響深)
31.배꼽이 둥글고 깊음(臍深圓好)
32.터럭이 오른쪽으로 선회함(毛右회)
33.손발이 있음(手足滿)
34.손발을 마음대로 함(手足如意)
35.손금이 분명하고 곧음(手文明直)
36.손금이 김(手文長)
37.손금이 연속됨(手文不斷)
38.보면 즐거워짐(一切惡心衆生見者知悅)
39.넓고 둥근 얼굴(面廣姝)
40.달과 같은 얼굴(面淨滿如月)
41.중생의 뜻에 따라 기뻐함(隨衆生意和悅與語)
42.터럭구멍에서 향기가 남(毛孔出香氣)
43.입에서 향기가 남(口出無上香)
44.사자 같은 모습(儀容如師子)
45.나아가고 물러남이 코끼리같음(進止如象王)
46.행동이 거위 같음(行法如계王)
47.머리는 마타라 열매와 같음(頭如摩陀羅果)
48.음성이 구족함(一切聲分具足)
49.예리한 어금니(牙利)
50.붉은 혀(舌色赤)
51.얇은 혀(舌薄)
52.붉은 터럭(毛紅色)
53.깨끗한 터럭(毛潔淨)
54.넓고 긴 눈(廣長眼)
55.구멍이 구족함(孔門相具足)
56.손발이 붉고 휨(手足赤白如蓮華色)
57.배꼽이 나오지 않음(臍不出)
58.배가 나오지 않음(腹不現)
59.가는 배(細腹)
60.기울지 않은 신체(身不傾動)
61.신체가 묵중함(身持重)
62.신체가 큼직함(身分大)
63.신체가 장대함(身長)
64.손발이 정결함(手足淨潔軟澤)
65.신체 주위에 빛이 비침(邊光各一丈)
66.빛이 몸에 비침(光照身而行)
67.중생을 평등하게 봄(等視衆生)
68.중생을 가볍게 보지 않음(不輕衆生)
69.중생에 따라 소리를 냄(隨衆生音聲不過不感)
70.설법에 차이가 없음(說法不差)
71.중생에 맞는 설법을 함(隨衆生語言而爲說法)
72.중생의 언어로 대답함(一發音報衆聲)
73.차례로 인연에 따라 설법함(次第有因緣說法)
74.다 볼 수 없음(一切衆生不能盡觀)
75.보는 이가 싫증을 안 느낌(觀者無헌足)
76.긴 머리칼(髮長好)
77.머리카락이 고름(髮不亂)
78.머리카락을 잘 틀어 올림(髮시好)
79.푸른 구슬 같은 머리칼(髮色好如靑주相)
80.덕스러운 손발 모습(手足有德相)
======================================================================================
불상의 형식
육계
보통 부처의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살(肉)이 올라온 것이나 머리뼈가 튀어 나온 것으로
지혜를 상징한다. 불정(佛頂), 무견정상(無見頂相), 정계라고도 한다.
원래는 인도의 성인(聖人)들이 긴 머리칼을 위로 올려 묶던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나발(螺髮)은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의 머리카락이다.
원래 부처의 32길상에는 머리카락에 관한 설명이 없지만 일부 경전에 나발이
오른쪽으로 말려 있다고 되어 있다. 불상의 머리카락은 간다라 불상에서는 굵은
웨이브형인데 비해 마투라 초기불상에서는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표현되었으나
시대가 내려가면서 점차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발형식으로 변하게 되었다.
소발(素髮)은 민머리로 별다른 장식이 없는 머리형태를 말한다. 대개 석조불 계통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두발형식이다.
백호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부드러운 털을 백호(白毫)라 한다.
이 털은 오른쪽으로 말리면서 나와있다. 대승불교에서는 광명을 비춘다고 하여 부처뿐만
아니라 여러 보살들도 모두 갖추도록 규정하였다. 따라서 초기 불상에서부터 작은 원형을
도드라지게 새기거나 수정 같은 보석을 끼워 넣기도 했으며 드물게 채색으로 직접
그리기도 하였다.
삼도
삼도(三道)란 불상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으로, 생사(生死)을 윤회하는 인과(因果)를
나타내며 혹도(惑道) 또는 번뇌도(煩惱道), 업도(業道), 고도(苦道)를 의미한다.
원만하고 광대한 불신(佛身)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형식으로 보통 불, 보살상에서 볼 수 있다.
'전통주택 > 불상및 탑의 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의 자랑 황룡사9층목탑(2) (0) | 2006.04.21 |
---|---|
[스크랩] 우리의 자랑 황룡사9층목탑(1) (0) | 2006.04.21 |
[스크랩] 집터 풍수 (0) | 2006.04.21 |
[스크랩] 불상 참고자료 (0) | 2006.04.21 |
[스크랩] 불상 참고자료 (0) | 2006.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