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 및 농가정보/주간농사정보

[스크랩] 주 간 농 사 정 보 (제3호: 1.14 ~ 1.20)

시인의마을들 2008. 2. 8. 18:38

주 간 농 사 정 보 (1.14 ~ 1.20)


벼 농 사

□ 볍씨 확보

 ○ 보급종자를 확보하지 못한 농가는 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하여 시범포산 등 우량종자를 알선 받아 영농에 대비한다.

 ○ 새로 확보한 종자는 농촌지도담당공무원을 통하여 품종특성을 미리 파악하도록 한다.


밭 농 사

 ○ 산간지나 배수 불량하고 습해 우려가 있는 논보리는 동해 피해가 우려되므로 거친 퇴비라도 덮어 주어 혹한에 대비토록 한다.

 ○ 생육정지기에 들어간 보리는 휴면 상태에 있으나 겨울동안 보리 포장이 낮에는 녹았다 밤에는 얼었다를 반복하면서 보리 들뜸 현상이 발생되니 동해에 의한 피해보다는 건조에 의한 피해 발생이 더 크므로 트랙터 부착 롤러 등을 이용한 답압작업을 해주어 피해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 현재, 움저장을 하고 있는 고구마는 12~15℃의 온도와 85~90% 정도의 도를 유지하여야 안전한 저장이 되며, 저장 중 물이 스며들지 않아야 썩지 않게 된다. 또한, 씨고구마로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고를 자주 들락거리면 온도와 습도 조절이 곤란하므로 하우스 육묘에 치상하는 날짜를 잘 선택하여 한번에 씨고구마를 꺼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버    섯

□ 느타리버섯 재배관리

 ○ 버섯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는 겨울철 재배에 적합한 10~16℃ 정도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를 잘 해 주도록 하고, 단열시설은 수시로 점․보완하여 주고 노후화된 시설은 교체하여 준다.

 ○ 버섯 재배사 실내 습도는 85% 정도가 유지되어 균상이 마르지 않도록 하고, 신선한 공기가 항상 유지되도록 환기관리를 철저히 해주도록 한다.

 ○ 버섯자실체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게 되면 세균에 의한 갈변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관수 후에는 반드시 환기작업을 실시하여 버섯 갓의 수분을 증발시켜 갈변병 발생을 사전에 막아주도록 관리하여 준다.


채    소

□ 시설채소

 ○ 보온용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일찍 걷어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게 하고, 해지기 전에 닫아 야간 보온력을 높게 해준다.

 ○ 육묘상이나 오이, 토마토, 풋고추 등 시설재배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보온 및 가온을 해준다

 ○ 물주기는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여 하우스 내부가 너무 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온풍난방기 장기간 사용시 버너와 열교환기에 분진 축적으로 열효율이 저하되므로 온풍난방기 점검 및 분진제거로 열 이용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 마늘 ․ 양파

 ○ 겨울철에 비가 내리거나 눈이 녹으면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관리를 철저히 해주고, 피복한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덮어 고정시켜주며, 갑작스러운 추위에 대비 볏짚․왕겨 등을 덮어주고, 고자리파리, 양파 노균병 등 병해충을 잘 관찰하도록 한다.

□ 가지과 채소 (토마토, 가지, 고추, 파프리카 등)

 ○ 온도조건이 좋아 작물체가 지나친 영양생장을 하면 착과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증산량 증가로 수분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니, 수경재배에서는 급액관리에 주의해야 하고, 갑자기 온도가 하강할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기형과 등의 생리장해과 발생이 많아질 수가 있고, 흰가루병, 진딧물, 온실가루이 등의 피해가 증가할 우려가 있으니

 ○ 영양생장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에는 관수 및 추비량을 줄이고, 이산화탄소를 시용하는 작물은 영양생장기에는 농도를 다소 낮추어 주고 과실 비대기에는 높여 주도록 하고, 토양수분 및 배지 내 함수량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수량 조절을 해주도록 한다.

 ○ 기온이 떨어지면 뿌리의 활력감소로 식물체가 위조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적절한 적엽이 필요하며, 갑작스런 온도 강하 시에도 최저 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 딸기

 ○ 딸기는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알맞게 환기를 시켜 웃자라지 않도록 관리하여 과실의 연화를 방지하며, 적과 및 액아제거를 철저히 하여 묘의 세력 약화를 예방한다.

과   수

□ 과원관리

 ○ 지난봄부터 가을까지 과수 나무에 발생하였던 각종 병해충이 병든 잎․가지․과실․잡초 등에서 겨울을 나게 되는데 병해충이 숨어서 겨울을 나고 있는 병든 잎․가지․과실 등을 모두 모아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어 주도록 한다.

 ○ 저장고 관리 : 과실 저장 중에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 이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 축적되지 않도록 과실 저장고는 주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해 준다.


화   훼

 

 ○ 저온 및 강설 등 겨울철 기상에 따른 난방기 점검을 평소에 잘하고 눈이 많이 내릴 때는 하우스 피해가 나지 않도록 눈을 쓸어내리도록 한다.

 ○ 장미의 휴면을 타파시키기 위하여 가온을 시작할 때는 장미의 키를 낮추어 주는 전면적인 절단을 해 주도록 한다. 전정 후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묵은 가지나 잎을 완전히 제거하여 월동 해충의 월동 장소를 없애 주도록 한다.

 ○ 현재 꽃을 생산하는 장미 하우스는 온도를 16℃이상 되도록 관리해 주고, 겨울철에는 일조량이 부족하기가 쉬우므로 보온 자재 관리에 세심한 신경을 쓰도록 한다.

 ○ 또한, 생육온도가 5℃이하가 되면 생리장해 발생 및 생육이 정지되고, 0℃가 되면 낙엽이 지고 휴면이 시작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거베라는 토양 가온에 의한 지온상승 효과가 커서 겨울철에 수확량이 늘릴 수 있으므로 지중가온 시설을 이용하여 18~20℃ 정도의 지온을 유지해 주도록 한다.

축    산

□ 가축 및 축사관리

 ○ 조류인플루엔자의 예방을 위하여 매일 사육하는 닭이나 오리를 관찰하여 질병이 의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은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서는 안 되며, 외부인의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 폭설에 대비하여 축사와 가축분뇨 처리시설을 점검․정비하여 붕괴를 막고 가축분뇨퇴비장은 기온이 저하됨에 따라 적정량의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가 잘 되도록 해주고 액비저장 탱크에는 발효제를 첨가하거나 폭기를 철저히 하여 부숙이 잘되어 악취가 완전히 제거된 액비를 이용한다.

 ○ 전기사용 부주의로 인한 축사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전기의 적정량을 준수하고 축사내외부의 전선 피복여부와 전열기구 등을 정비․점검을 실시한다.

출처 : 다락골사랑-누촌애
글쓴이 : 다락골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