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산에서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가을꽃
-
각시취(국화과) 학명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 특징 두해살이풀로 높이 30~150cm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고,
-
긴 타원형,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고 밑이 쐐기 모양이다. 꽃은 8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처럼 달리며,
-
자주색 또는 드물게 흰 색이다.
-
감국(국화과) 학명 Chrysanthemum indicum L.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 나며, 아래쪽이 쓰러져 땅에 닿고,
-
높이 30~60cm, 보통 검은 자주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며, 난상 원형,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
꽃은 10월~12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처럼 달리며,
-
노란 색이다.
-
개미취(국화과) 학명 Aster tataricus L. 분포 전국의 산 숲속 또는 숲 가장자리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00~150cm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르며,
-
줄기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
밑이 잎자루로 흘러서 날개처럼 된다. 꽃은 8월~10월에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모여서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자주색이다.
-
개쑥부쟁이(국화과) 학명 Heteropappus hispidus (Thunb.) Less. 분포 전국의 산과 들 건조한 곳 특징 두해살이풀로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은 도피침형이다. 줄기잎은 촘촘하게 어긋나며,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
가장자리가 둔하다. 꽃은 8월~10월에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연한 자주색 또는 흰 색이다.
-
계요등(꼭두서니과) 학명 Paederia scandens (Lour.) Merr. 분포 남부 지방의 산과 들에 흔하고 울릉도와 황해도 섬에도 분포 특징 덩굴나무지만 풀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줄기 위쪽이 겨울에 죽는다.
-
전체에서 냄새가 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다.
-
꽃은 7월~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의 원추꽃차례 또는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
흰 색이지만 화관통 안쪽은 자주색이 돈다.
-
고려엉겅퀴(국화과) 학명 Cirsium setidens (Dunn) Nakai 분포 제주도 제외한 전국의 높은 산 숲속 또는 풀밭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120cm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
밑이 좁아져 잎자루에 날개처럼 붙는다.
-
잎 가장자리에 가시 털이 빽빽하다. 꽃은 8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
강원도에서 ‘곤드레’라 부르며 나물로 한다.
-
고마리(마디풀과) 학명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et Zucc.) H. Gross 분포 전국의 도랑이나 물가 특징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아래쪽이 누워 자라며, 높이 50~100cm,
-
모서리에 밑을 향한 가시가 드문드문 난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창 모양이다.
-
꽃은 8월~10월에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5~20개씩 모여 머리모양꽃차례를
-
이루어 피며, 연한 분홍색 또는 흰 색이다.
-
궁궁이(산형과) 학명 Angelica polymorpha Maxim. 분포 전국의 산 계곡 주변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추서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
높이 80~150cm다.
-
잎은 어긋나며, 3~4번 갈라지는 깃꼴겹잎, 삼각상 넓은 난형이다. 꽃은 9월~11월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
깊은 산 계곡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산형과 식물이다.
-
금불초(국화과) 학명 Inula britannica L. var. japonica (Thunb.) Franch. et Sav.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100cm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다.
-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
꽃은 7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차례 중앙에는 통모양꽃, 가장자리에는 혀모양꽃이 달린다.
-
까치고들빼기(국화과) 학명 Youngia chelidoniifolia (Makino) Kitam. 분포 전국의 산 숲속 바위 부근 특징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높이 15~50cm다. 잎은 어긋나며, 얇고,
-
깃꼴로 완전히 갈라진다.
-
잎 갈래는 난형이고, 잎 밑은 귓불처럼 되어 줄기를 감싼다.
-
꽃은 8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처럼 달리며,
-
노란 색이다. 잎이 썩을 때 악취가 난다.
-
꽃향유(꿀풀과) 학명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숲속 또는 숲 가장자리 특징 한해살이풀로 높이 30~6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
가장자리에 이 모양 톱니가 있다.
-
꽃은 9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
분홍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차례는 길이 4~10cm이며,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다.
-
나도송이풀(현삼과) 학명 Phtheirospermum japonicum (Thunb.) Kanitz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 특징 반기생의 한해살이풀로 전체에 샘털이 많고, 높이 20~70cm다.
-
잎은 마주나며, 삼각상 난형이고,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
잎은 줄기 위쪽으로 갈수록 작다.
-
꽃은 8월~10월에 줄기와 가지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
연한 자주색이다.
-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다.
-
닭의장풀(닭의장풀과) 학명 Commelina communis L. 분포 전국의 산과 들 길가 또는 숲 가장자리 특징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아래쪽이 비스듬히 자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
높이 15~50cm, 마디가 굵다.
-
잎은 어긋나며, 난상 피침형, 밑이 막질 엽초로 된다. 꽃은 7월~10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2~3cm의 꽃대 끝에 몇 개가
-
취산꽃차례처럼 달리며, 하늘색이다.
-
더덕(초롱꽃과) 학명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et Zucc.) Trautv. 분포 전국의 산 숲속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굵고, 줄기는 덩굴지어 자란다.
-
잎은 어긋나며, 짧은 가지 끝에서 보통 4장씩 가까이 모여 나서 돌려난 것처럼 보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
꽃은 8월~9월에 가지 끝에서 1개씩 달리며, 연한 녹색이다.
-
뿌리와 줄기에서 향이 강하게 난다.
-
물봉선(봉선화과) 학명 Impatiens textori Miq.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습기가 많은 곳 특징 한해살이풀로 마디가 볼록하며, 높이 40~80cm다.
-
잎은 어긋나지만 위쪽에서는 거의 돌려나며,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7월~10월에 가지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달리며,
-
붉은 보라색 또는 흰 색이다.
-
미역취(국화과) 학명 Solidago virgaurea L. var. asiatica Nakai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숲속 또는 풀밭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80cm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
-
밑이 좁아져서 잎자루에 날개를 이루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월~10월에 줄기 끝과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머리모양꽃이 달려서 전체가
-
산방상 이삭꽃차례처럼 되며, 노란 색이다.
-
바위떡풀(범의귀과) 학명 Saxifraga fortunei Hook. fil. var. incisolobata (Engl. et Irmsch.) Nakai 분포 전국의 높은 산 습한 바위 위에 자란다.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없다.
-
잎은 뿌리에서 나며, 둥글거나 둥근 콩팥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11~17갈래로
-
얕게 갈라진다. 꽃줄기는 녹색 또는 붉은 빛을 띤다. 꽃은 7~10월에 원추상 취산꽃차례로 피며, 흰 색 또는 붉은 빛이 도는 흰 색이다.
-
아래쪽 꽃잎 2장이 더 길다.
-
벌개미취(국화과) 학명 Gymnaster koraiensis (Nakai) Kitam. 분포 강원도 이남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50~100cm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른다.
-
줄기잎은 어긋나며, 위로 갈수록 작고,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
밑이 좁아져 잎자루로 흐른다. 꽃은 7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
연한 자주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다.
-
벌등골나물(국화과) 학명 Eupatorium fortunei Turcz. 분포 중부 이남의 숲속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 나고,
-
높이 100~15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대부분 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
가운데 갈래는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꽃은 8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모여서
-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연한 자주색이다.
-
사위질빵(미나리아재비과) 학명 Clematis apiifolia DC. 분포 전국의 산과 들 길가 또는 숲 가장자리 특징 낙엽덩굴나무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
작은 잎은 넓은 난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6월~9월에 잎겨드랑이의 원추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
흰 색, 지름 1.5~2cm다. 할미밀망에 비해서 더욱 많은 꽃이 달린다.
-
산구절초(국화과) 학명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분포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0~60cm다. 잎은 어긋나며,
-
넓은 난형, 깃꼴로 가늘게 갈라진다.
-
갈래는 피침형 또는 선형, 끝이 뾰족하다. 잎 양면은 샘점이 있다.
-
잎은 변이가 많다. 꽃은 7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
흰 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다.
-
산오이풀(장미과) 학명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남부와 중부 지방의 높은 산 능선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40~80cm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겹잎이다.
-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작은 잎이 9~13장이다.
-
작은 잎은 긴 타원형,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7월~9월에 가지 끝의 이삭꽃차례에 달리며, 끝에서부터 피기 시작하고,
-
붉은 색이다.
-
새며느리밥풀(현삼과) 학명 Melampyrum setaceum (Maxim.) Nakai var. nakaianum (Tuyama) T. Yamaz. 분포 중부 이북의 높은 산 숲속 특징 반기생의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50cm쯤이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하다. 꽃은 8월~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자주색이다.
-
꽃싸개잎은 가장자리가 수염처럼 길게 되며, 자주색이다.
-
수리취(국화과) 학명 Synurus deltoides (Ation) Nakai 분포 전국의 산 건조한 풀밭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
높이 5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
꽃은 8월~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
검은 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떡취’라고 부르며 잎을 갈아서 떡에 넣어 먹는다.
-
여우오줌(국화과) 학명 Carpesium macrocephalum Franch et Sav. 분포 중부 이북의 산 숲속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굵고, 높이 80~150cm다.
-
잎은 어긋나며,
-
아래쪽 큰 것은 난형, 밑이 잎자루로 흘러서 날개처럼 된다.
-
줄기 가운데 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 위쪽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꽃은 8월~10월에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피며, 노란 색이다.
-
오리방풀(꿀풀과) 학명 Isodon excisus (Maxim.) Kudo 분포 전국의 산 숲속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100cm다. 잎은 마주나며,
-
난상 원형, 끝이 3갈래로 갈라지는데 가운데 갈래는 꼬리처럼 길고,
-
밑이 쐐기 모양으로 되어 잎자루로 흐른다.
-
꽃은 7월~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5~20cm의 취산꽃 차례로 달리며,
-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 색이다.
-
참당귀(산형과) 학명 Angelica gigas Nakai 분포 전국의 산 습기가 많은 곳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전체에 자줏빛이 돈다.
-
잎은 1~2번 갈라지는 3출 깃꼴겹잎, 끝의 작은 잎은 길이 6~12cm다.
-
줄기 위쪽의 잎은 잎자루 아래쪽이 타원형으로 부풀고 줄기는 감싼다. 꽃은 8월~9월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리며, 자주색이다.
-
뿌리는 차를 끓여 마신다.
(식물도감에서)
-----------------------------------------------------------------------------
-
극빈 / 문태준
열무를 심어놓고 게을러 뿌리를 놓치고 줄기를 놓치고 가까스로 꽃을 얻었다 공중에 흰 열무꽃이 파다하다 채소밭에 꽃밭을 가꾸었느냐 사람들은 묻고 나는 망설이는데 그 문답 끝에 나비 하나가 나비가 데려온 또 하나의 나비가 흰 열무꽃잎 같은 나비 떼가 흰 열무꽃에 내려앉은 것이었다 가녀린 발을 딛고 3초씩 5초씩 짧게 짧게 혹은 그네들에겐 보다 느슨한 시간동안 날개를 접고 바람을 잠재우고 편편하게 앉아 있는 것이었다 설핏설핏 선잠이 드는 것만 같았다 발 딛고 쉬라고 내줄 곳이 선잠 들라고 내준 무릎이 살아오는 동안 나에겐 없었다 내 열무 밭은 꽃밭이지만 나는 비로소 나비에게 꽃마저 잃었다
-
----------------------
고향에 가시는 분들은
동네 한바퀴 돌아보며 유년을 추억하시고
고향에 못가시는 분들은
마음에 뜬 보름달을 그리며
고향에 계신 어르신들께
따뜻한 안부라도 전한다면
마음이 한결 가볍지 않을까 싶습니다
옛 시름까지 꺼내어
-
고향의 노래 / 수원시립합창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