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고대 치목 및 조립현장
서까래나 부연 위에는 추녀에서 추녀, 사래에서 사래를 연결하는 긴 횡부재가 걸리는데, 이를 평고대라고 한다. 겹처마인 경우에는 추녀 위에 것을 그냥 평고대(초매기), 부연 위에 것을 부연평고대(이매기)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평고대의 곡에 맞추어 선자서까래와 평서까래 그리고 부연(벌부연,고대부연)을 걸기때문에 평고대는
지붕 곡선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재이다.
평고대 만들 부재들
선자서까래가 걸리는 부분은 약간의 곡을 준다.
개판을 끼울 홈을 판다.
평고대와 평고대를 이을 부분을 연귀맞춤으로.
초매기 걸고
이음새 부분
곡을 잡기위해서 밧줄과 장선기와 와이어를 사용했다.
초매기의 선자연 부분
개판을 끼운 선자부분의 평고대
개판의 앞부분을 평고대에 끼우고 못질.
이매기 설치
옹이가 있는 부분은 파손되기 쉬우므로 곡이 잡힐 때까지 와이어로 보강.
이매기 걸고 부연부착.
사래에 걸쳐진 이매기
이매기에 부연개판 끼우고
출처 : 나무과자
글쓴이 : 순돌이 원글보기
메모 :
'전통주택 > 한옥의 치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크랩>사괘 맞춤 지방별 형식 (0) | 2008.03.19 |
---|---|
[스크랩] 추녀 치목 및 조립 현장 (0) | 2008.03.19 |
[스크랩] 왕지도리의 치목 및 조립현장 (0) | 2008.03.19 |
[스크랩] 갈모산방의 치목 및 조립현장 (0) | 2008.03.19 |
[스크랩] 사래 치목 및 조립 현장 (0) | 2008.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