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못은 가능한 햇볕이 잘 드는 곳이 적당하다. 잎이 무성한 큰 나무 아래는 수초가 잘 자랄 수 없고,
동식물도 활발하게 활동할 수 없어 죽은 연못이 되기 쉽다. 발걸음을 자주 할 수 있는 곳에 물이 가깝고 주변에 다양한 식물이 살고 있는 곳이
좋다. 사실 생태연못은 조금이라도 여유공간이 있는 곳이면 마당 어디든 좋다.
연못의 크기는 여건에 따라 다르다. 폭 1m의 작은 연못도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는 우선 작은 연못부터 시작하는게 낫다. 깊이는 완만하게 하여 다양한 수심을 만들 수 있도록 바닥면에 약간의
굴곡을 준다.
맨땅 + 비닐 + 방수시트 + (퇴비) + 흙
맨땅 + 비닐 + 점성이 강한 진흙
맨땅 + 비닐 + 밴토나이트(광물성 점토)
시트 + 흙
맨땅 + 밴토나이트 알갱이 + 진흙
연못형태의 수조 + 퇴비 + 흙
1. 방수포(Flexible Pond
Liner)
연못 전용 방수포는 독일의 ‘가데나(Gadena)'
제품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자외선 산화, 동파, 부패 방지 처리가 되어 있고, 동물과 식물에 유해성분이 없게 제작되었기 때문에 생태연못에도
적합하다. 0.5㎜ 두께이며 3㎡ 크기는 6만원, 6㎡ 크기는 10만원이다.
2.
벤토나이트
환경친화적인 자연 방수재료다. 광물성 점토를 원료로 시트나 알갱이로 만들어진다.
벤토시트는 ㎡당 약 1만7천원. 알갱이는 20㎏ 1포에 약3만4천원.
2. 토목용
마대
식물의 뿌리 안착을 돕고 온도 변화를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건축자재 판매업체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400×600㎜ 사이즈가 약 2천2백원.
3. 수초용
망포트와 화분포대, 뜰채와 연못용 비료들
수초에 연못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주변과 바닥에 구멍이
난 포트. 뿌리가 망포트 밖으로 쉽게 자라서 연못 내부에 활착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화분포대는 연못 경사면에 설치하고 수초를 심으면
경사면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가격은 크기에 따라 다양하다.
|
|
연못 주변에 심는 식물 | 창포, 고비, 고마리, 돌나물 등이 좋다. 특히
돌나물은 연못 테두리를 따라 천을 덮듯이 자라 주어서 어색함을 감춰 주는 역할을 한다.
물가에서 자라는 식물(추수식물)
| 연못 가장자리에 살며, 뿌리는 물속 바닥에 내리고 줄기와 잎을 물 밖으로 뻗치고 있는 식물을 말한다. 벼, 갈대, 줄,
부들, 창포, 겨풀 등이 있다.
물속에서 자라는 식물(침수식물) | 뿌리는 비록 땅 속에 내리고 있지만,
줄기가 물속에 잠겨 자라는 식물을 말한다. 구와말, 검정말, 붕어마름 등이 있다.
잎이 물 위에 떠서 자라는 식물(부엽식물) | 뿌리는 땅 속에, 잎은 물 위에
뜬 상태다. 수련, 연꽃, 어리연꽃, 마름, 가래, 네가래 등이 있다.
물에 떠서 자라는 식물(부유식물)
| 부레옥잠, 개구리밥, 생이가래 등이 있다. 부레옥잠은 열대식물로, 겨울에는 실내에 몇 포기 들여놨다가 봄에 연못에 옮겨주면
잘 자란다.
연못에 심는 식물이 완전히 뿌리 내리려면 6개월 정도가 필요하다. 이 기간 동안은 자주 돌봐줘야 한다.
식물을 심을 때 토양지지망을 대거나, 구멍 뚫린 포트에 담으면 경사에 쓸려내려가지 않게 할 수 있다.
혹, 심어놓은 벼가 누렇게 변하게
되면 흙이 건강하지 못한 것이므로 흙을 통째로 갈아주거나, 질 좋은 황토흙을 곱게 뿌려주면 된다.
|
|
생태 연못 119
1. 연못을 만드니 모기가 생겼어요.
조금이라도 고인 물이 있으면 모기는 그 안에 알을 낳습니다.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가 그 안에서 꿈틀거리는 것을 볼 수 있지요. 이 땐 근처 개울가에서 송사리 서너 마리를 잡아 연못에 넣어주면 됩니다. 송사리는
모기유충을 무서운 속도로 잡아 먹습니다. 송사리는 생식주기가 아주 짧아 조건만 맞으면 순식간에 번식할 수 있습니다.
2. 허드렛물로 연못을 만들고 싶어요.
빗물받이에서 나오는 허드렛물로 연못을 만들려면 1차적인
정화시스템이 있어야 합니다. 배수구에서 바로 나오는 물을 연못에 쓴다면 물에 스민 중금속이나 먼지찌꺼기들 때문에 연못이 건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일단 물은 한 곳에 모아두고 여기에 미나리꽝을 심어봅니다. 미나리꽝은 중금속 중 Cu와 Cd 제거에 탁월한 능력이 있는
자연정화식물입니다. 갈대, 부레옥잠들도 같은 능력을 갖고 있지만, 그중 미나리꽝이 성장률이 가장 빠르고 오염물질에 대한 적응력이
탁월합니다.
3. 연못물이 마르면 어떻게 하죠?
지행에 따라 계곡수가 흘러들어가게 만들면 금상첨화이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연못에 물을 마르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일단 연못을 가득 채우는 물을 지하수나 수돗물 빗물로 하고, 여름철 증발량과 누수되는 물량(방수를 어떻게 하는냐에
따라 다름)을 감안해서 보충하는 물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비가 적당히 내리면 연못물의 양도 적당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를 위해 배수구는 꼭 필요합니다.
화분연못의 경우에도 물의 경계선 부위에 구멍을 내어 비가 와도 물이 넘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물이
너무 많이 증발했을 때는 때때로 보충해 줘야 합니다.
'관리실 > 전원주택 갤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름다운 정원을 만드는 방법 (0) | 2017.06.03 |
---|---|
[스크랩] 전원주택 정원의 공간구성 (0) | 2017.06.03 |
[스크랩] 생태 연못만들기 (0) | 2017.06.03 |
[스크랩] 전원주택 정원만들기 (0) | 2017.06.03 |
[스크랩] 전원주택 정원 담장 갤러리 (0) | 2017.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