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항진 증후군, 식욕항진, 탐식, Bulimia,
Binge-eating syndrome, Binge-purge syndrome, Bulimarexia
식사에 대한 정신적 질환으로 음식을 끊임없이 갈망하고 과식함으로써 구토를 유발하거나 완하제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 특징임
[나이,성별]
사춘기 청소년이나 젊은 성인층
보통 여성에게 많이 나타남
[증 상]
1. 마구 먹어대는 일이 많이 발생
2. 다음 중 3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남
1) 짧은 시간, 보통 2시간 이내에
2) 많은 양의 음식을
3) 빨리 먹음
3. 고열량의 간편한 음식을 선호함
4. 먹는 것을 숨기게 됨
5. 설사를 시키는 완하제 사용, 구토유도와 같은 방법으로 속을 비워 마구 먹어대는 것을 중단함
6. 마구 먹고 난 뒤에는 우울증과 죄의식을 갖게 됨
7. 구토, 완하제나 이뇨제 사용 같은 극히 제한된 식이요법으로 체중을 줄이려는 노력을 반복
8. 금식과 과식을 번갈아 반복해서 40kg 이상의 체중변동이 일어남
9. 신체적 질환에 의해 일어나지는 않음
[원 인]
1. 알려져 있지 않음
2. 이 질환은 보통 비정상적인 식이요법 후에 시작되며 불충분한 음식섭취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생길 수도 있음
[위험인자]
1. 식욕 결핍에 대한 신경과민증
2. 우울증
3. 이주, 전학, 전근 등과 같이 생활방식이 바뀜으로 인한 스트레스
4. 외모에 지나치게 신경을 씀
[예방법]
1. 겉치레보다 좋은 대화와 보살핌 속에서 아이들이 성장할 수 있는 가정환경을 조성해 줄 것
[진단법]
1. 자가진단으로 이상여부 관찰
2. 전문인의 검진, 혈액 검사
[합병증]
구토, 설사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을 소실해서 나타나는 불균형
[치료전망]
1. 대부분의 환자들은 상담, 정신치료, 생체리듬훈련 등으로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음
2.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은 치명적일 수 있음
[식이요법]
1. 통원 치료가 필요할 때는 수액을 정맥주사 받게 지시받을 수 있음
2. 회복기에는 결핍증상이 사라지고 정상적인 식사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비타민과 미네랄을 보충해주는 것이 필요함
[전문인과 상담해야 할 경우]
1. 식욕항진 증후군이 느껴지는 경우
2. 치료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3. 심박동이 불규칙해지고 가슴에 통증이 생김
4. 의식 상실
5. 월경이 정지함
6. 구토와 설사가 반복됨
7. 치료를 해도 계속해서 체중이 감소함
'건강&먹거리여행 > 건강을 만드는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 사상의학 (0) | 2011.03.05 |
---|---|
손발저림 (0) | 2011.03.05 |
사상체질과 섭생(四象體質과 攝生) (0) | 2011.03.03 |
발열과 해열제 (0) | 2011.03.03 |
노인과 운동 (0) | 201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