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14호
<2009. 3. 29~4. 4>
☞ 영농기술
□ 생산비 절감을 위한 벼 직파재배 : 무논점파 기술
○ 무논점파 기술이란?
- 직파재배는 육묘와 모내기가 필요 없어 노력과 기자재가 절약되는 기술이나 잡초발생, 생육불균형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 무논점파기술은 5~7립의 종자가 균일하게 점파(點播)되어 입모가 안정적이고, 도복, 잡초관리 등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다.
○ 품종선택 및 준비
- 지역 장려품종 중 도복에 강한 직파적응 품종 선택하고 품종선택 후 종자탈망 반드시 실시하여야 한다.
- 종자 소독 후 침종하여, 최아 1~2㎜ 상태에서 파종한다.
* 종자 물기가 손에 붙지 않을 정도로 말려서 파종
○ 본답 준비
- 시비는 노력비 절감을 위하여 복합비료 또는 완효성 비료 준비(본답 기비처리)하도록 하고 파종 4일 전 본답 로타리, 정지작업 완료한다.
* 시비방법 : 질소-인산-가리(9-4.5-5.7㎏/10a)
○ 파종 시기 및 방법
- 무논점파 파종기는 지역별로 직파재배시기를 고려하여 설정하고 파종은 로터리, 정지작업 4일 후에 실시한다.
* 4월 10일~5월 20일(수원)
- 파종전 무논골점파기를 점검하여 파종립수를 5~10립로 조절한다.
* 종자소용량 : 5~10㎏/10a
○ 파종 후 물관리 및 잡초방제
- 도복경감을 위하여 파종 후 10일간 무담수 처리하고 파종 10일 이후 담수상태에서 제초제 처리한다.
○ 정지작업후 파종시기에 따른 입모상태
정지작업 후파종시기 |
논굳힘 정도(cm) |
종자매몰상태 |
결주율(%) |
입모수(개/㎡) |
2일 |
11.3 |
보통 |
5.2 |
81(77) |
4일 |
8.9 |
양호 |
3.9 |
85(81) |
6일 |
7.9 |
양호 |
3.5 |
91(87) |
8일 |
7.3 |
양호 |
3.5 |
93(89) |
중묘기계이앙 |
10.2 |
- |
3.3 |
- |
* 최아종자 파종·중묘기계이양 결주율 3.3%
○ 출수기 벼 생육 및 쌀 수량
정지작업 후파종시기 |
출수기(월?일) |
쌀수량(kg/10a) |
수량지수 |
2일 |
8.15 |
547 |
100 |
4일 |
8.15 |
558 |
102 |
6일 |
8.15 |
602 |
110 |
8일 |
8.15 |
592 |
108 |
중묘기계이앙 |
8.16 |
547 |
100 |
* 최아종자 파종
☞ 이 주일에 실천 할 농작업
1. 벼 농 사
가. 볍씨 담그기
○ 못자리를 일찍 하면 모 기르기가 어렵고 모내기가 빨라져 고온기에 등숙되어 쌀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 지역의 모내기 적기 내에서 중모의 경우 역산하여 30일전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볍씨 담그는 기간과 싹틔우기, 파종, 싹키우기 등의 기간(10일 정도) 을 감안하여 모내기 40일 전에 하는 것이 좋다.
○ 볍씨는 소금물가리기 한 후 많이 발생되는 병해충 방제에 알맞은 약제로 약액의 온도를 10~30℃(키다리병은 30℃)정도 유지하여 24~48시간 소독한다.
○ 볍씨 담그기는 밤에 보온이 되는 하우스 등에서 1주일 정도 실시하며 하루에 3~4회 저어 주어 볍씨가 수분을 골고루 흡수하여 싹이 균일하게 트도록 한다.
○ 못자리 설치에 필요한 소독약제, 상토, 육묘상자, 비닐, 할죽 등 자재를 확보하지 못한 농가는 못자리 시기를 감안하여 서둘러 준비하도록 한다..
나. 논 토양 관리
○ 퇴비는 반드시 운반과 동시에 살포하여 병해충 발생과 쓰러짐을 예방하고 가축분뇨 등 액비는 완전히 부숙되고 악취가 없을 때 살포 기준량을 잘 지켜 사용토록 한다.
○ 규산질비료를 확보한 농가는 일찍 뿌리고 논을 갈아 볏짚 등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특히 도열병 상습지와 산간고랭지에 주면 병해와 냉해의 예방에도 효과가 크므로 논갈이 전에 반드시 뿌리도록 한다.
2. 밭 농 사
○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논보리 포장은 비가 많이 내릴 경우 습해에 대비하여 수시로 배수로를 정비하도록 한다.
○ 중부지방의 봄 감자 아주심는 시기는 3월 하순~4월 상순으로 심기 하루 전에 육묘상에 물을 충분히 주어 묘를 채취할 때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 고구마 싹이 나온 묘상은 23~25℃ 정도의 온도와 70%의 습도를 유지하고 햇빛을 충분히 받아 웃자라지 않도록 하고 싹이 5~10㎝ 되었을 때는 따뜻한 날 한낮에는 2~3시간 환기를 시킨다.
○ 시설 재배 옥수수는 낮 동안의 온도를 높게 유지해 주어 초기생육을 촉진시켜주고, 밤에는 보온관리를 잘 해주어 온도가 10℃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3. 채 소
가. 고 추
○ 고추 육묘상은 낮에는 환기를, 밤에는 보온을 잘 해주고 모가 자람에 따라 단계별로 적정 온도를 유지해 주도록 한다.
○ 육묘상 온도가 너무 낮거나 습도가 높으면 모잘록병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환기 등 관리에 주의하고 육묘상 온도가 최저 15℃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 고추 묘상에 물을 줄 때는 찬물을 직접 주지 않도록 하고, 모판흙이 마르면 20℃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육묘상 밑까지 스며들도록 충분한 양을 오전 11시~오후 1시 사이에 주도록 한다.
○ 육묘하우스 내 하우스 출입구와 측면쪽은 온도가 낮아 비닐하우스 안쪽에 있는 고추모보다 생육이 저조하므로 생육상태를 보아가며 자리 옮김을 해주도록 하여 고른 육묘를 하도록 한다.
○ 남부지방에서 터널재배를 하려는 농가는 터널용 골재나 피복비닐, 고정끈 등 자재를 준비하여 정식에 필요한 포장을 준비하도록 한다.
나. 시설 채소
○ 작물이 햇빛을 최대한 많이 받도록 해 주고, 한낮에는 환기를 실시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병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환기를 잘하여 습도를 낮추어 주고, 물주기는 가급적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한다.
○ 황사 현상이 발생하면 비닐, 온실유리 등 시설 지붕에 먼지가 쌓여 햇빛 투과량이 부족하게 되므로 물로 씻어 투광률을 높여 주도록 한다.
다. 마늘·양파
○ 토양수분이 부족한 포장(특히 밭 재배)은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물을 주도록 하고, 비가 자주 내려 습해가 우려되는 밭이나 논은 배수구 정비를 잘하여 습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 난지형 마늘과 양파는 더 이상 웃거름을 주지 않도록 하고, 한지형 마늘은 4월말까지 생육이 부진한 포장만 웃거름으로 10a당 요소 4~5㎏을 2~3회 뿌려준다 마늘은 유황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므로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뿌려주면 품질이 향상된다.
○ 양파의 경우 꽃대 발생주는 조생종의 경우 잎양파로 조기에 출하하도록 하고 중만생종은 구가 더 이상 크지 않으므로 포기를 뽑아내어 주위 포기들의 비대를 돕도록 한다.
4. 과 수
○ 병해 방제를 위하여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할 과원은 기계유 유제를 뿌린 후 21일이 지난 다음에 살포해야 안전하다.
○ 기상분석(1. 1~3.15)에 따르면 평균기온은 전년보다 2.1℃ 낮고, 평년보다 0.1℃높아 금년 개화시기는 평년과 비슷하고 전년보다는 늦을 것으로 전망된다.
○ 과수는 서리 피해를 받으면 안정적인 생산이 안되고 소질이 좋은 중심과의 착과가 어려워 품질 좋은 과실 생산이 어려우므로 서리 피해에 사전대비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 서리 피해가 예상되는 날은 방상선풍기를 가동하거나 스프링클러를 이용 물뿌리기, 왕겨 태우기 등으로 피해를 방지하고 왕겨를 태울 때는 산불 및 인근 나무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5. 화 훼
○ 봄철에 한창 출하중인 페튜니아, 팬지 등 초화류 분화는 꽃봉오리가 피기 시작할 때 물을 충분히 주어 출하하여 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도록 한다.
○ 진딧물, 응애류 등 병해충을 방제를 위해서는 수시로 하우스 포장을 자세히 살펴보고 병해충이 발생되었을 때는 초기에 방제하도록 한다.
○ 하우스 안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작물이 고온장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온도가 올라가고 햇빛이 강한 날에는 환기 관리에 주의한다.
○ 국화에서 정상적으로 꽃이 피지 못하는 버들눈은 햇빛이 부족하였거나 단일 처리 초기에 장일 조건이 되었을 때 많이 발생하므로 알맞은 일장 상태를 유지하고 지나친 고온이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6. 특용작물
가. 느타리버섯
○ 느타리버섯 균 기르기 작업이 끝난 농가는 빠른 시간 내에 품종별 생육 적온으로 온도를 내려주고 버섯 발생초기의 공중 습도를 95% 정도 유지하도록 하여 버섯 첫 발생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 버섯이 처음 발생되기 시작하면 온도를 13~18℃, 공중 습도는 85~90%로 낮추어 주면서 버섯 생육에 따라 물주기를 조절해 주도록 한다.
나. 뽕밭 관리
○ 봄거름은 알맞은 양을 뽕밭 전면에 뿌리고 로터리 작업을 실시한다.
○ 알맞은 제초제(씨마네, 알라, 펜디 등)를 선택하여 적기에 뿌려 김매는 노력을 줄이도록 한다.
7. 축 산
가. 가축 사양 관리
○ 번식우는 살이 너무 찌거나 마르면 번식능력이 떨어지고 송아지의 체중이 적어 좋은 밑소로 육성하기 어려우므로 알맞은 영양을 유지하도록 하고, 소의 나이, 체중, 성장단계에 따라 영양소 요구량이 다르므로 가능한 구분하여 사육하도록 한다.
○ 소들이 일광욕과 운동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운동 시간을 늘려주고, 방목 예정 소는 방목지 상태를 보아 방목 15일전부터 옥외 사육을 하여 방목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 어미돼지 우리 안의 온도가 24℃ 이상 상승하게 되면 젖먹이는 돼지의 사료 섭취량이 적어져 젖을 뗀 후 다시 발정하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온도관리에 유의한다.
○ 낮 동안에는 창문을 개방해 환기를 해주고 해 지기 전에 창문을 닫아 일교차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나. 초지 사료작물 관리
○ 중부지방에서 목초의 점유율이 낮거나 빈곳이 생긴 초지는 빠른 시일 내에 보파를 마치고, 논뒷그루 사료작물과 목초지에서 아직 웃거름을 주지 않은 농가에서는 서둘러 주도록 한다.
○ 담근먹이용 옥수수는 4월중에 파종을 마쳐야 수량이 많으므로 필요한 종자와 비료 등을 미리 준비하여 적기에 파종할 수 있도록 한다.
다. 가축 위생관리
○ 돼지콜레라 예방을 위해 출입통제와 소독 등 철저한 차단방역을 하고 감염된 가축을 발견시에는 절대로 자체 처리하거나 판매해서는 안되며, 발생 인근지역에서는 백신접종요령에 따라 예방접종을 실시하도록 한다.
○ 구제역을 예방하기 위하여 매주 수요일 전국일제소독의 날에 맞추어 축사안팎을 철저히 소독하고 평상시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해야 한다.
○ 황사가 예보되면 축사, 사료 등에 황사먼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황사가 끝난 후에는 시설과 가축에 대한 소독을 철저히 하며, 가축을 관찰하여 질병 발견시에는 방역당국(1588-4060)에 즉시 신고한다.
○ 어린 송아지에 대한 보온관리를 잘 해 주고 설사와 기침을 하는 송아지는 격리 치료하며 배설물을 신속히 제거한 후 주위를 소독한다.
○ 부루세라병과 결핵병의 예방을 위하여 크레졸이나 가성소다 등으로 소독하고 주기적인 혈청검사를 실시하며 감염우는 즉시 도태시킨다.
○ 닭에서 뉴캣슬병과 조류인플루엔자 및 전염성기관지염 등 질병발생 예방을 위하여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서 철저한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백신접종을 실시한다.
'택지 및 농가정보 > 주간농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 간 농 사 정 보 <제45호, 2009. 11. 1~11. 7> (0) | 2009.12.05 |
---|---|
주 간 농 사 정 보<제44호, 2009. 10. 25~10. 31> (0) | 2009.12.05 |
주간농사정보 제17호<2009. 4. 19 ~ 4. 25> (0) | 2009.04.21 |
주간농사정보 제16호<2009. 4. 12 ~ 4. 18> (0) | 2009.04.21 |
주간농사정보 제15호<2009. 4. 5~4. 11> (0) | 200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