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주택을 리노베이션 할 경우 건축주는 시공전, 시공중, 시공후 그리고 인수시 등 각 단계별로 집중적으로 점검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 시공 전 점검 사항
경제적인 리노베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공사에 착수하기 전에 최소한 아래의 몇 가지 사항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① 사업의 목적 예산 및 공사 일정과 시기 등을 미리 점검한다.
② 건축물의 구조 진단을 미리 받고 인허가관련 사항을 관할 군청 건축과 등과 협의해 무리없도록 사전 조정해야 한다.
③ 시공업체의 시공 능력과 애프터 서비스 그리고 견적 조건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④ 시공업체의 공사 범위 및 견적 내용 계약 조건 등에 대해 충분히 협의 후 결정해야 한다. 견적서에 사용 자재의 품명, 수량, 크기 그리고 회사 이름까지 기입돼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한다.
⑤ 특히 내부 자재와 구조에 대해서는 세밀한 부분까지 토의, 합의해 두는 것이 좋다. 또 자재백화점 등을 직접 방문, 실제 시공된 자재를 확인한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시공자재들은 시공 전에 반드시 품질 검사를 받도록 한다.
⑦ 외장재의 경우 주변 건물의 모양새나 주위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눈에 잘 띄고 관리하기 쉬운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⑧ 공사 내용을 추가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는 업체의 견적서를 시공 전에 받아 확인한다.
- 시공 중 점검 사항
① 시공 중 언제 어느 때고 의문나는 사항이 있을 경우 협의할 수 있는 현장책임자가 상주하도륵 요청한다.
② 현장책임자에게 작업에 따른 공정표를 작성토록 하고 공정표를 받아둔다.
③ 사용되는 자재는 'KS', '품' 그리고 'Q'자 등의 표시가 있는지 수시로 확인한다.
④ 견적서에 따른 자재의 품명, 크기, 회사명이 맞는지도 수시 확인한다.
⑤ 견적 금액보다 공사비가 추가될 경우 즉시 어떻게 추가되었는지를 살펴본다.
⑥ 물탱크는 방수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물을 24시간 이상 담아놓고 확인한다.
- 시공후 점검 사항
① 사용검사증과 도면을 받아둬야 나중에 하자가 생길 경우 처리가 된다.
② 하자보수기간, 내용, 방법 등을 설정하고 보험 등 믿을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한다.
③ 도면과 시공이 일치했는지를 확인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은 집중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 설비 : 냉온수가 나오는지 누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난방은 입주 2,3일 전에 가동해 본다. 화장실 배수구 변기가 막힘이 없이 잘 내려가는지 확인한다.
△ 전기 : 콘센트 스위치 등 통신기기 단자함이 설치되고 잘 연결돼 있는지 점검한다.
△ 마감재 : 벽재 장판 등에 사이가 떨어진 곳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질재의 재료가 맞닿는 부분에서는 재료 분리대가 잘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 창호 : 잘 열리고 닫히는지, 또 소리가 나는지 살펴본다.
- 시공 전 점검 사항
경제적인 리노베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공사에 착수하기 전에 최소한 아래의 몇 가지 사항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① 사업의 목적 예산 및 공사 일정과 시기 등을 미리 점검한다.
② 건축물의 구조 진단을 미리 받고 인허가관련 사항을 관할 군청 건축과 등과 협의해 무리없도록 사전 조정해야 한다.
③ 시공업체의 시공 능력과 애프터 서비스 그리고 견적 조건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④ 시공업체의 공사 범위 및 견적 내용 계약 조건 등에 대해 충분히 협의 후 결정해야 한다. 견적서에 사용 자재의 품명, 수량, 크기 그리고 회사 이름까지 기입돼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한다.
⑤ 특히 내부 자재와 구조에 대해서는 세밀한 부분까지 토의, 합의해 두는 것이 좋다. 또 자재백화점 등을 직접 방문, 실제 시공된 자재를 확인한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시공자재들은 시공 전에 반드시 품질 검사를 받도록 한다.
⑦ 외장재의 경우 주변 건물의 모양새나 주위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눈에 잘 띄고 관리하기 쉬운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⑧ 공사 내용을 추가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는 업체의 견적서를 시공 전에 받아 확인한다.
- 시공 중 점검 사항
① 시공 중 언제 어느 때고 의문나는 사항이 있을 경우 협의할 수 있는 현장책임자가 상주하도륵 요청한다.
② 현장책임자에게 작업에 따른 공정표를 작성토록 하고 공정표를 받아둔다.
③ 사용되는 자재는 'KS', '품' 그리고 'Q'자 등의 표시가 있는지 수시로 확인한다.
④ 견적서에 따른 자재의 품명, 크기, 회사명이 맞는지도 수시 확인한다.
⑤ 견적 금액보다 공사비가 추가될 경우 즉시 어떻게 추가되었는지를 살펴본다.
⑥ 물탱크는 방수가 제대로 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물을 24시간 이상 담아놓고 확인한다.
- 시공후 점검 사항
① 사용검사증과 도면을 받아둬야 나중에 하자가 생길 경우 처리가 된다.
② 하자보수기간, 내용, 방법 등을 설정하고 보험 등 믿을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한다.
③ 도면과 시공이 일치했는지를 확인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은 집중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 설비 : 냉온수가 나오는지 누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난방은 입주 2,3일 전에 가동해 본다. 화장실 배수구 변기가 막힘이 없이 잘 내려가는지 확인한다.
△ 전기 : 콘센트 스위치 등 통신기기 단자함이 설치되고 잘 연결돼 있는지 점검한다.
△ 마감재 : 벽재 장판 등에 사이가 떨어진 곳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질재의 재료가 맞닿는 부분에서는 재료 분리대가 잘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 창호 : 잘 열리고 닫히는지, 또 소리가 나는지 살펴본다.
출처 : 군위 사랑
글쓴이 : 에추 원글보기
메모 :
'주택신축 > 전원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농가주택 개조1. 개조전 점검사항 (0) | 2006.08.04 |
---|---|
[스크랩] 농가주택 개조2. 개조 방향과 비용 (0) | 2006.08.04 |
[스크랩] 집짖기 절차 (0) | 2006.08.04 |
[스크랩] 신화 콘크리트 생태옹벽 (0) | 2006.08.04 |
[스크랩] 집짓기절차 상세(허가/신고) | (0) | 2006.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