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신축/적벽돌&파벽돌주택

콘크리트 자기 수축현상

시인의마을들 2012. 2. 23. 14:05

Con'c 자기 수축현상

Ⅰ. 개요

1. Con'c 자기수축이란 시멘트 수화에 의해 초결 이후 거시적으로 생긴 체적 감소 현상으로서

2. 물질의 침입이나 이탈, 온도변화, 외력, 외부구속 등에 기인하는 체적변화는 포함 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 하고 있다.

3. 이러한 현상은 예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일반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건축수축에 비해 대략 1/10정도로

작기 때문에 그다지 중요한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Ⅱ. 발생요인

1. W/C 비 적고 단위 시멘트량 많은 Con'c

   1) W/C 비가 적고 단위 시멘트량이 많은 고강도 Con'c에서 많이 발생된다.

2. Mass Con'c 영향

1) 아주작은 W/C비의 경우를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작으며 실제적으로는 Mass Con'c를 제외하고는

     Con'c 건조 수축과 분별할 필요가 없으며

2) 건조수축은 보통 자기 체적 변화에 의한 수축을 포함하기도 한다.

Ⅲ. 자기수축의 영향

1. 자기 수축에 의한 균열발생

1) W/C비 작고 단위 시멘트량이 많은 고강도 Con'c에서 자기수축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지적 되었다.

2. 자기수축 영향 인자

1) 시멘트, 혼화재료, 배합, 양생방법, 등에 의한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아직 세부적이고

정량적인 연구가 완전히 수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Ⅳ. 실험에서 의한 자기 수축 특성 예

1. 배합시에 Silica Fume과 Flyash를 치환하여 특성을 검토한다.

2. 수축특성

1) 그림 1와 2은 각각의 배합에 대한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1의 자기수축의 경우 측정시작 직후 대체적으로 자기수축이 진행한 후 시험체마다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측정 시작후 13시간정도에서 자기수축의 변화가 다소 완만해지고 있으며, 측정시간

40시간 정도에서 건조수축의 값에 비해 대략 1/5 정도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 또한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놓은 시험체가 상대적으로 낮은 자기수축 값을 나타내어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20%일 경우 가장 낮은 자기수축량을 나타내었다.

3) 그러나 그림2의 건조수축의 경우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높은 15%, 20%로 갈수록 오히려 높은

건조수축의 값을 나타내어 플라이애쉬의 건조수축과 자기수축에 미치는 세부적인 심험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을 변화시켜 제조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유동성,강도 및 수축에 관한 실험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에 대한 영향은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자기수축은 감소하고 건조수축은

증가하며, 건조수축에 대한 자기수축의 비율도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값을 나타내어

  추후 지속 연구를 통한 정량적인 데이터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