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박을 운영하시느라 수고하시는 부모님을 위해 걱정하시는 분께 아래의 자료를 올리오니 참고하시어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면 합니다
카페지기
기존 시설을 이용 한 난방 절약법
1. 커튼 이용을 잘 한다. 햇볕이 잘 들어오는 낮 시간에는 커튼을 열어둬서 햇볕의 열기가 실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밤 시간에는 커튼을 잘 쳐서 단열이 잘 되도록 해 준다. 이중 커튼을 설치하면 외풍을 막아주고 따뜻한 공기층도 만들어 줘 더욱 효과가 좋다.
2. 가습기로 난방 효과를 높여준다. 가습기에는 가열식과 초음파식이 있다. 가열식은 물을 100도로 가열한 뒤 약 70~80도의 수증기를 내뿜는 방식이어서 실내 온도를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전기요금은 더 나오지만 습도와 함께 온도까지 높여주므로 외풍이 심한 집일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반면 아파트처럼 높은 실내 온도가 유지되는 집에서는 찬 수증기를 내뿜는 초음파식이 더 상쾌하다.
3. 보일러를 일정 온도에 맞춰 놓는다. 보일러를 자주 껐다켰다하는 것보다 낮은 온도라도 계속 켜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외출시에도 외출 버튼을 누르거나 실내온도를 평상시보다 2~3도 정도 낮게 설정해 놓는다. 보일러의 온도는 쾌적하다 싶은 난방 온도에서 1도정도 낮추면 연간 7만원 정도의 난방비가 줄어든다.
4. 바닥에 카펫이나 러그를 깐다. 중앙난방식 아파트의 경우 난방을 할 때는 집안이 갑갑할 만큼 후끈하다가도 난방을 끄면 온기가 밖으로 다 빠져나가 춥다. 이런 경우 바닥에 카펫이나 러그를 깔아주면 좋은데, 난방으로 얻을 열기를 오랫동안 보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왕이면 따뜻한 컬러(붉은계열)가 더욱 효과적이다.
5. 보조 난방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난방 기구를 창쪽에서 떨어진 안쪽에다 놓으면 창 쪽은 항상 차갑고 안쪽은 항상 온도가 높아 실내 온도차이가 커 난방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창 쪽의 냉기가 들어오는 위치에 난방 기구가 창을 등지도록 설치하면 온기가 냉기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공기의 교류가 원활히 이루여져 효과적인 난방을 할 수 있다. |
효율적인 시설 투자를 하여 난방비를 줄이 는 방법
지열 냉.난방 시스템
1. 지열이란? (지열에너지)
지열은 지구가 생설될 때 있던 열로 아직 방열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우라늄이나 토륨 같은 방사선원소의 붕괴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일본과 같이 화산이 많은 고온지열지대는 지하에 용융암석의 활동에 의한 것으로 여기에 물을 주입하여 증기를 생산하고 이것으로 증기터빈을 돌려서 발전에 이용할 수가 있고 이런 시스템을 지열발전소라고 한다.
프랑스 파리 같은 곳에서는 약1,500미터 정도에서 약70도 전후의 열을 퍼올려 지역난방에 이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열자원이 풍부한 분화지역이 적어 전기 공급보다는 냉,난방 시스템위주로 보급되고 있다.
지중은 5미터이하로 내려가면 사계절 내내 14~20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로 지열 냉,난방 시스템이다. 이는 대기중에 노출되는 기기가 없어 장치 수명이 길고(현재 시판되고 있는 보일러의 경우 중요설비의 내구 연한이 50년임) 냉매을 적게 사용하며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태양열처럼 대기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24시간 이용이 가능해 효율적이다.
2.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종류와 원리
- 종류
지열 냉,난방 시스템은 열 교환기와 히트펌프에 의해 작동된다. 이는 열 교환기의 회로 구성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뉜다. 개방형 시스템은 풍부한 수원지가 있어야 시공이 가능한데 호수, 강, 우물등에서 공급받은 물을 파이프로 직접 운반해 열을 교환하는 방식이다.
밀폐형 시스템은 U자형 지중열 교환기를 매설하고 부동액과 같은 유체가 회로(히트펌프)내를 순환한다. 동절기에는 유체가 순환하여 회수한 열을 건물내로 전달하고 하절기에는 건물 내의 열을 흡수해 지하로 방출한다, 기름보일러 대비 난방비를 80%, 냉방비를 50%절감할 수 있다.
-원리
지열냉난방에 사용되는 지열원히트펌프의 작동원리는 기존 에어컨이나 냉장고에 있는 냉동기와 같은 원리다.
압축기에서 발생된 고온고압의 가스를 응축기에서 열을 발산하여 저온고압의 액가스를 만들고, 이를 팽창밸브를 통해 저온저압의 액가스를 만들어 증발기에서 열을 취득하는 그런 원리로 응죽기나 증발기부분에 어떠한 열매체와 열교환을 하느냐의 차이다.
응축기(또는 증발기)와 바깥 공기가 열교환을 할 경우, 공기열원히트펌프(또는 에어컨류 or EHP 등)으로 불리게 되는 것이고, 땅속의 열과 열교환을 할 경우 지열원히트펌프(GSHP)라고 불리게 되는 것이다.
3. 지열 시스템 설치 시 고려사항
첫째! 지중 열 교환기 설치할 천공 부지 확보
-주로 화단, 주차장, 운동장 등 유휴주지를 활용한다.
둘째! 지중 열 교환기 형태 선택하기
- 수직 밀폐형이 일반적이나 지열 시스템 설계능력이 있는 설계사를 선정하여 지중 부하를 설계하는등 사전 지열 지식이 필요하다.
셋째! 건물 안전을 위해 천공 위치가 건물과의 이격거리 따지기
- 적절한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알맞은 그라우팅 재료 선정으로 천공으로 인한 건물 하자가 없도록 한다.
** 그라우팅이란?
- 누수방지 공사나 토질 안정 등을 위해 지반의 갈라진 틈, 공동 등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일로 충전재를 중력이나 펌프를 이용해 충전하거나 건축물의 균열 부분을 보수하는데 실시한다.
4. 지열 시스템 소형화추세
누진제 폐지이전에 해외사와 협력해 외국에서 들여온 소형화 설비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굉장히 고무적이다. 주문량이 생산량을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시장이 활성화 되고 있다.
여기에는 소비자 만족도가 큰 작용을 했는데 지열 시스템 설치후 전기료 절감이 입소문을 탄 것이다.
6. 주요 사용처
신축건물(주택), 단독주택, 전원주택, 펜션, 다세대주택, 빌라, 기숙사, 사찰, 교회, 농장 등
7. 향후 전망
지열시스템은 최근 3년간 총 설치량의 83%인 87,164kw가 집중되었다. 최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관련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지열 시스템 보급도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초기 투자비용 문제 해결과 관련 법규의 마련이 시급할 뿐 아니라 지열 냉,난방시스템 설계기술의 국산화는 61.3%, 제작 및 생산기술의 국산화는 약 59%에 머무르고 있어 국내 시장 발전과 국산 제품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기술개발에 과감한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다.
|
태양광주택은 정부의 '태양광주택10만호보급사업' 정책으로 산자부산하 에너지관리공단의 주도하에 사업이 진행됩니다.
여러사람들에게 혜택을 주기위하여 최대 3kW까지만 정부보조금 정책이 적용되고 있어 그 이상의 용량을 설치하실경우 정부지원금없이 설치하셔야 합니다. 설치비용은 회사마다 다르나 대략 950만원/kW 정도 보시면 되며 예를들어 3kW 기준시 총 약 285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지만 전체설치비의 70%(1995만원)을 무상으로 지원해주며 본인 자부담금은 30%(855만원)정도 입니다. 하지만 다른 답변글에서 보셨다시피 업체간의 경쟁, 각각의 다른 설치환경 및 조건등으로 다양한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으나 보통 자부담금이 900만원을 넘는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할수있습니다.
또한 설치가능한 용량은 전자에 언급했던 내용처럼 최대 3kW 인데 이는 최근 1년치 월별평균사용량을 산출하여 450kW/월 이상쓰신분들 한해서 가능하며 300kW/월~450kW/월 의 경우 2.5kW 가 설치가능하며 그 이하 용량도 가능합니다.
다시말해 평소에 많은 전기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요금절감 혜택이 많아지게 됩니다.
설치환경 조사도 필수인데요 일단 태양광 설치가능한 지붕면이나 지상면의 방위각이 정남향을 바라보고 있어야 합니다. 정남향이 아니라면 정남향을 0도로 기준했을시 +,- 30도 범위에 들어온다면 설치가능하며 방위각 다음에 살펴봐야 부분은 그림자(음영)입니다. 태양광은 말 그대로 빛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제품으로 그림자는 꼭 피해야할 조건중에 하나입니다. 사철내내 드리워지지 않는곳에 설치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 ||||||||||||||||||||||||||
| ||||||||||||||||||||||||||
|
| ||||||||||||
| ||||||||||||
| ||||||||||||
| ||||||||||||
|
태양광 발전과 태양광을 활용한 주택, 가로등 등이 앞으로 계속 증가한다면 저탄소 녹색성장도 바로 눈 앞의 이야기!!
위의 거창군의 예를 살펴본다면 태양광 발전용량 79.2kWp가 소나무 묘목을 52그루 심고,
32W 형광등을 무려 2475개 켜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하네요
그,런,데
이런 친환경 에너지 태양광 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태양전지!
태양전지 효율 세계 1위의 제품을 생산해내는 기업이 우리나라 기업이라는 것, 알고 계신가요?
지난해 삼성이 「인터솔라(Intersolar) 유럽 2010」이라는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 전시회에 참여했던 모습입니다.
이 곳에서 유럽의 주택 지붕에 외관과 크기를 최적화해 활용할 수 있는 고출력의 태양전지 모듈을 선보였는데요.
이러한 태양전지 사업이 올해 7월 1일부터 삼성SDI에서 진행중입니다.
기존에 삼성SDI가 진행하던 ESS사업(에너지저장시스템)과 태양광 사업이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인데요.
에너지를 저장하여 전력 과부하 또는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품질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제고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
▼ ESS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 ▼ http://cafe.naver.com/sdiecoenergy/23248
|
쉽게 설명하자면,
낮에 태양광을 흡수해 만든 에너지를 ESS에 저장해놓고, 밤에 ESS에저장된 에너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으니
ESS와 태양광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나 할까요?
에너지를 똑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무엇보다~!
삼성SDI에서 생산하는 태양전지의 태양전지 효율(태양 빛이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전기로 생산되는 정도~!)이
19.2%로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합니다~.
지구에게도~! 우리에게도 유익한 태양광 산업~!
빠른 시일내에 우리 주변 곳곳을 누비는 태양광 자동차부터 밤을 밝히는 태양광 가로등~!
각 가정의 태양광 에너지를 보관하는 ESS까지 더 자주 만나볼 수 있기를 바라며
태양광 산업의 발전을 기대합니다^-^
'주택.아파트리모델링 > 시설물유지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화조 용량산출표 (0) | 2012.01.13 |
---|---|
마산 수출지역 유진메카닉스 공장 신축(빔 골조작업 및 판넬색상 선택) (0) | 2011.11.14 |
상가 건물 내부에 원룸 공사 (0) | 2011.10.01 |
복합 상가 내 사무실 천정 작업 (0) | 2011.10.01 |
경기파주 보온 창고공사 (0) | 2011.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