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신축/통나무주택

[스크랩] 통나무집짓기 2 - Full-notch공법

시인의마을들 2007. 7. 28. 17:16
         통나무집짓기 2 - Full-notch공법

 

Full-notch 통나무집은 나치(notch)와 그루브(groove)라는 일종의 홈파기

기법을 활용하여 우물정(井)자로 빈틈없이 원목을 쌓아  통나무만으로

내력벽을  만드는 공법으로, 그 기술적인 햄심은 세틀링(settling : 내려 앉음)

대책에 있습니다.

 

세틀링(settling)이란...........

수분이 많은 원목으로 지어진 통나무집이 자연건조되면서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의 이름인데(2~3년), 나무는 종(길이) 방향으로는 거의 수축하지 않으나

횡(부피) 방향으로는 6%가량 수축하는 것으로 봅니다. 그래서 나치와 그루브,

창문과 출입문 위에 settling space를 줍니다. 풀 나치의 경우 1층 벽(Wall)을

보통 3미터 전후로 10단(Round) 정도 쌓는데 2, 3년 후 세틀링이 다 되면 2층

높이가 약 15 ~ 20센치 정도(6%내외) 낮아진다는 겁니다(이해가 되시나요?) 

이때의 함수율은 목조주택을 지을때 사용하는 인공건조목과 비슷한 상태,

대략 12%가 되어 구조가 안정됩니다.

 

 

============================================================================

 

그렇다면..... 나무집 중의 나무집, 통나무집 중의 통나무집,

원목 Full-notch 통나무집은 어떤 과정을 거쳐 지어지는가.........

 

 

평면도가 확정되면 먼저 골조를 만들기 위한 가(pro-)기초도면에 따라 레벨

(level)과 직각(square)을 잡아 가기초를 만들고 그 위에 다시 직각을 잡아

먹줄을 놓습니다. 원목을 반으로 켠 half log와 1/3을 켜 낸 sill log를 이 먹선에

일치하도록 세팅하여(1st round) 적당한 높이로 최초의 나치를 만듭니다

 

그 위에 다음 단(2nd round)을 올릴 때는 원구(元口)와 말구(末口) 방향을

바꾸고, 양쪽 나치의 높이 차이를 반영하여 1차 커팅을 한 후 다시 올려 정밀하게

2차 스크라이빙(scribing)을 합니다

 

이 때부터 미래의 수축(settling)을 대비하는데 원목의 굵기와 1층의 높이를

고려해서  over scriving 폭을 정하고 점차 그 폭을 줄여갑니다

 

컴퍼스 모양에 수직 수평레벨이 달린 기구를 스크라이버(scriver)라 하는데

그림처럼 레벨을 봐 가며 아랫 단(round)의 모양을 뒷 단(round)으로 옮겨

그루브(groove)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루브가 그려지고(좌 상, 잘 안보이죠?) 나치가 그려지면(우 상) 다시 내려

가공을 합니다(하 좌우) 

 

같은 방법으로 매 단(round) 마다 원 말구를 바꾸어 세팅하면서 높이를

점검하고, 출입문이나 창문(開口部)은 그 크기와 용도에 따라 단목을 쌓거나

장목으로 연장한 다음 해더(Header : 문 틀 윗부분)를 체크하고 잘라

내기도 합니다

 

해더는 대게 8 Round에서 만드는데 창문이나 출입문의 높이와 원목의

수축률을 여유있게(8%) 계산해서 그만큼 settling space를 잡아줍니다.

 

모든 개구부에는 키 웨이(key Way)라는 홈을 파는데 이는 문 틀(frame)을

원목 단면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벽체가 낮아지니까) 이 홈에 문 틀 높이와

같은 각재를 끼우고 이 각재와 연결된 옆판에 문 틀을 고정하므로써 벽체가

아래로 수축하더라도 이 키 웨이를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도록 고안된

장치입니다(당연히 문 틀의 높이는 settling space 만큼 작아야지요)

아래 사진들을 보시면 좀 더 이해가 갈 겁니다

 

조이스트(floor joist : 2층 장선)가 안정되게 놓이려면 우선 그 아랫 단까지

큰 높이 차이 없이 안정된 벽체작업이 션결요건입니다. 이 때는 1st Round

이상의 정밀한 level check가 필요하고 그만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조이스트 부재(원목)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최종 윗 면(plate)이 고르게

나오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트러스(truss)도 만들고

 

 

디자인커팅(design-cut)을 마치면

 

부재별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조립의 역순으로 분해를 시작합니다

 

동시에 각 corner 외부 Log end에 1층 벽체 전체를 관통하는 긴(3미터)

볼트를 끼울수 있는 구멍을 차례로 뚫는데 나치 통나무집의 벽체 전기배선은

거의 키 웨이를 활용하기 때문에 키 웨이와 연결되는 전기배선 구멍도 함께

뚷어야 합니다

 

해체작업이 거의 끝나가면 상차를 한 후

 

현장에 도착하면

 

다시 기초위에 레벨과 직각을 잡아 먹선을 놓고 .............

고유번호 순서대로 조립을 해 나갑니다

 

실내 외부가 만나는 벽의 나치와 그루브에는 밀페와 단열을 도와주는

씰(seal : 유리솜 대용)을 붙이는데 내부에는 할 필요가 없습니다

 

가끔은 체인블럭(chain-block)이 사용되기도 하고....

 

본채에 이어 부속실(포스트&빔) 조립을 합니다

 

본채와 부속실 사이에는 peace & peace를 녛어 자연스런 연결을 만들고

(양쪽에 포스트를 세우기 때문에 여기도 키 웨이를 만듭니다)

 

 

팔각실도 조심스럽게 조립을 합니다

 

이 부분 역시 세틀링 때문에 그 폭 만큼 공간을 띄워 screw-jack을 고이고

정기적으로 풀어서 낮추는데 이때도 키 웨이를 이용합니다. 그림으로 보면

앞서 설명한 그 원리가 이해가 되세요

 

폭염속에서 조립을 마치고

 

 

지붕부터 마감작업을 시작하는데(이 때는 포스트&빔 과 차이가 없구요)

풀 나치 통나무집은 대게 지붕경사가 세서 작업할때 아주 조심해야합니다 

 

팔각지붕은 팔각 뿐만 아니라 도리에 힙 각(hip square)이 생기기 때문에

작업이 아주 까다롭지만 만들고 나면 참 보기가 좋습니다

 

 

부속실(포스트&빔)과 연결되는 곁지붕도 철저하게 세틀링을 고려해서

각 건물이 따로 놀면서 일체인 구조를 만드는 겁니다. 어려운 작업이죠

 

마감공사를 끝내고 창문과 출입문을 달았습니다.

발코니 데크(deck)공사가 남았구요..... 2층은 이처럼 포스트&빔으로

만들 수도 있고 나치를 다시 쌓기도 하며 경사지붕을 이용한 다락방 형태로

만들기도 합니다

 

 

창문위에 판재로 막은 부분에 settling space가 숨어있답니다

 

어떻습니까..... 마음에 드세요?

 

 

출처 : 네이버 블로그 행복한 집짓기

출처 : 나무과자
글쓴이 : 순돌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