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신축/통나무주택

[스크랩] 통나무집 벽체쌓기

시인의마을들 2007. 7. 28. 17:01

                             통나무집 벽체쌓기

1)notch란?

  통나무를 옆으로 눞혀 쌓아 벽체를 이룰 경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생기게 된다.. 이 때 방향이 다른 윗 나무의 하단에, 아랫나무의 모양을 파서 쌓아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는 항상 나무두께 반 정도의 높이차가 발생한다. 이처럼 통나무 벽체의 코너에서 윗나무에 아랫나무 모양으로 파지는 홈을 notch라 한다.

2) sill log

  sill log란 기초위에 최초로 설치되는 통나무를 말한다. sill log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있으며 이 때 반단의 높이차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최초에 놓이는 sill log에 나무의 절반을 켠 반쪽짜리 나무가 놓이게 된다.이것을 sill log중에서도  half log라 한다. 기초윗면은 수평을 유지하는 평면이다. 여기에 최초로 설치되는 통나무인 sill log는 기초의 윗면과 마찬가지로 평면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만 기초와 sill log 사이가 틈없이 밀착하게된다.

3) half log제작(수평절단)

   a. 자르고자 하는 나무를 받침대 위에 놓고 휜 방향이 위 아래로가게 면을 선택하여 단단히 고정한다. 이 때, 나무가 흔들리게 되면 정확한 평면을 구하기가 불가능해 진다.

   b. 나무의 양 끝을 나무 섬유방향과 직각이되게 깨끗이 잘라준다.

   c. 잘라진 양끝 중앙에 2cm 간격으로 수직선을 두게 긋고 수직선의 상단끼리 연결하여 두 개의 먹줄을 놓는다. 그러면 먹줄간의 간격도 2cm가 유지된다.

   d. 180도 돌려 반대측에도 두 개의 먹줄을 놓는다.

   e. 90도 돌려 양끝의 수직선이 수평이 되게 설치한다.

   f. 체인소의 스파이크를 사용하여 먹줄 사이를 지그재그로 잘라 나간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위나 아래의 먹선을 건드려서는 안된다.

  g. 반으로 잘라진 절단면을 체인소로 면고르기를 한다.

  h. 전동대패로 깨끗이 마무리한다. 이 때 먹선이 반정도 남아있도록 유의한다.

   i. 깨끗이 마무리된 면의 중앙을 찾아서 먹줄을 놓는다.(중심선)

   j. 표시된 지점에 중심선에 대한 직각을 만들어 준다.(직각자 사용)

  k. 다시 나무를 뒤집어 sill log가 위치할 지점에 scarf를 만들어 준다.

4). half log setting

  만들어진 half log를 가기초 위에 설치한다. 가기초 바닥위에는 이미 각 코너를 연결한 먹줄이 십자 형태로 그려져있을 것이며, half log 바닥에도 중심선에 대해 만든 직각이 십자형태로 되어있을 것이다.

이 두 십자선을 1mm도 오차없이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한다. 이 때 가기초가 흔들리지 않게 세심히 배려한다. half log를 setting할 때 half log 면이 가기초면을 덮어버리기 때문에 양쪽에 표시된 십자를 사람의 눈으로 확인 하기 곤란해 지는 수가 많다. 그래서 half log setting 전에 half log와 가기초의 십자 연장선을 측면에 표시하여 정확한 setting이 될 수 있게 한다.
  특히 half log 위에는 sill log 가 오는데 sill log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기 위해서는 half log 바닥의 십자가 half log 상부까지 정확하게 연결 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직각틀을 이용하여 half log 바닥의 십자선을 half log 상부에 정확히 표시해 놓아야 한다.
  정확하게 setting이 끝나면 sill log setting 시 half log가 움직이지 않도록 못을 박아서 가기초와 half log의 위치를 임시 고정해 주는 것이 좋다.
  바닥의 중심선으로부터 양쪽끝에 연결되는 수직선을 긋고 수직선끼리 연결하여 half log상단에 먹줄을 놓는다.

5) sill log 제작

  sill log도 기초에 닿기 때문에 기초에 닿는 면은 평면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half log와는 달리 나무의 두께가 거의 유지 되어야 하기 때문에(그래야만 notch가 성립된다.) 나무 두께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평면을 만들어 준다. 기초에 닿을 평면의 폭은 15cm 정도면 적당하다.

 ㄱ. sill log용 나무를 선목하여 받침대에 얹고 휜 방향이 위아래로 오게끔 면을 선택한다. 이때 peavey를 이용, 나무를 충분히 굴려가면서 신중하게 면 선택을 한다.

 ㄴ. 좌측면, 우측면 중에서 절단할 면을 선택하고 직각자를 수직으로 세워 절단폭 15cm 정도 되는 지점을 체크한다. 26cm 굵기의 나무라면 3cm 두께만 잘라내도 15cm 정도의 평면을 얻을 수 있다. 체크된 지점에 레벨을 이용하여 수직선을 긋는다.

 ㄷ. 양 쪽의 수직선을 연결하는 먹줄을 놓는다.

 ㄹ. 그 다음은 half log의 경우와 동일하다.

6) sill log setting

 ㄱ. half log setting 전에 십자 모양을 정확히 연장하기 위해 직각틀을 이용하여 half log 상단에 연장선이 그려졌고 half log setting 후 중심에 먹줄이 놓이면서 half log 상단에도 십자가 형성되었다.

 ㄴ. half log 십자와 sill log 십자를 정확히 일치시켜서 위치를 잡는다.

 ㄷ. half log 바닥으로부터 sill log 바닥까지의 높이를 양 쪽에서 체크한다.

 ㄹ. 낮은쪽에 그 차이만큼 쐐기를 고여서 양쪽의 높이를 동일하게 만들어 준다.

 ㅁ. 레벨을 대고 폭 방향의 수평을 유지해서 꺽쇠 등으로 고정한다.

7) scribing

  sill log setting 이 끝난후 half log 의 모양을 sill log에 그대로 옮겨그려서 홈을 파줘야한다. 이렇게 아래나무의 모양을 위로 옮겨그리는 기구를 scriber라 하고 scriber를 사용하는 작업(scribing)은 아래의 방법으로 진행한다.

  ㄱ. 윗나무 바닥과 아랫나무바닥의 높이차이에서 3mm를 뺀 간격을, scriber의 컴퍼스 부분을 벌려 scribing 폭으로 잡는다. 3mm를 빼는 이유는 half log가 수축하였을 때 notch에 틈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다.

  ㄴ. 레벨 체크
       곧은 판자를 벽면에 전후 좌우 수직을 잡아서 고정한다. 그 중앙에 수직선을 긋는다. 이렇게 되면 이 수직선은 전 후 좌우가 모두 수직인 지구 중심축을 향해 정확하게 내려꽂히는 선이되는 것이다.
       폭이 정해진 scriber의 양끝을 수직선 상에 일치시키고 scriber끝에 장착된 수평기를 움직여서 두 개의 기포가 동시에 가운데 오도록 만든다. 이것을 '레벨체크(level check)'라 한다. 레벨이 체크된 scriber는 어느곳에서 사용하더라도 기포만 동시에 가운데 오게되면 scriber의 콤퍼스부분 위, 아래는 항상 정확한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이 scriber를 가지고  계속 기포가 가운데 오도록 유지하면서 그려주면 밑나무의 모습이 윗나무에 그대로 옮겨 그려지게 된다.
  ㄷ. 양손으로 scriber를 감싸잡아 떨림이 적도록 하면서 밑나무의 모습을 윗나무에 그대로 옮겨 그려준다. 눈은 수평기의 기포를 계속 주시한다.(절단 방법은 뒤에 다시설명)

8) saddle notch

  가장 발전되었으며, 시공후 하자가 적은 notch가 saddle notch이다. saddle notch를 통해 round notch가 해결하지 못한 notch 부분의 틈새 발생을 극복할 수 있다. saddle notch는 두 차례에 걸쳐서 scribing하고 절단하여서 고정한다. 그 첫단계를 일차 scribing-일차절단이라하고 두 번째 단계를 이차 scribing-이차절단이라한다.

  ㄱ. 일차scribing

     ● set한 나무와 그 아래 나무와의 간격을 잰다. A부분 16cm, B부분 18cm라고 가정하면,

  

일차에서는 두부분의 높이를 같이만들어 주는 동시에, 이차때 가장 편하게 scribing할 수 있는 폭으로 만들어 주어야한다. 일반적으로 이상적인 scribing 폭은 5cm이다. 그러니까 일차절단을 끝내고 setting을 했을 때 양쪽의 폭이 동일하게 5cm가 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위 그림에서 처럼 양쪽의 간격이 동일하게 5cm가 되게하기 위해서 일차scribing폭은 A부분 :16cm-5cm=11cm,B :18cm-5cm=13cm가 된다.

   ●A부분은 11cm로 고정, 레벨 체크하여 그려주고, B부분은 13cm로 고정하여 레벨체크한 후 그려준다. 일차 scribing은 정교함 보다는 신속함에 치중하여 그려준다.

  ㄴ. 일차절단

   ●scribing한 나무를 집의 안쪽으로 180도 회전 시켜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날을 세워서 scribing 선 중앙을 잘라준다.(full bar 사용)

   ●scribing 선을 완전히 먹으면서 V자 형으로 잘라낸다. 

   ●바닥을 평평하게 고른다.

   ●홈 파기가 끝나면 처음의 위치로 180도 회전 시켜서 notch가 아래나무에 물리게 고정한다.

   ●올려진 나무의 중심을 잡아 chalk line을 퉁겨주고 log end 쪽에서 chalk line과 연결되는 수직선을 위 아래로만 임시로 표시한다. 표시된 수직선과 아래나무의 수직선을 일치시키어 나무의 위치를 잡는다.            

     ㄷ. 이차scribing

  일차 절단이 끝난 나무의 높이차는 대체적으로 5cm일 것이다. 그러나 제재목이 아니기 때문에 그보다 큰 부분이 있을 것이다. groove 폭 중에 가장 넓은 부분을 찾아낸다. 이것이 notch의 scribing 폭이된다.

   notch scribing 폭 : 가장 넓은 부분

   groove scribing 폭 : notch scribing 폭 + 5mm

   log end groove scribing 폭 : groove scribing 폭 + 5mm

   scribing 이된 notch 상단에 5mm의 여유공간을 두어 아랫나무가 수축했을 때 settling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준다.

   log end groove 상단을 5mm 더 파서, 나무가 갈라질 때 닿지 않도록 해준다.

    ㄹ. 이차 절단 : 이차 scribing이 끝나면 나무를 내려서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절단 준비를 한다. 이차절단에서는 정교한 절단을 위하여 반드시 notch scribing line을 끌질해 준다. 이렇게 하면 체인소로 절단을 해도 끝이 부슬 부슬 일어나지 않고 깨끗하게 잘려진다. 절단은 notch, 내측groove, log end groove순으로 한다.

    notch절단 : notch를 4등분 하여 1/4씩 정밀하게 절단한다.

    내측groove 절단 : 내측groove는 W. groove를 사용한다. (자른모양이 W형태가 되도록)

    log end groove 절단 : log end groove의 끝 부분은 U. groove 이고 notch쪽은 W. groove이다.

     ㅁ. scarf : 절단된 notch 상단에 scarf를 만들어 준다.

     ㅂ. 절단이 끝난 나무를 들어올려 setting 하고 나무함마로 고르게 두들겨 준다. 아랫나무의 수직선과 연결되는 수직선을 log end에 그려주고 그 수직선끼리 연결하여 나무 상단에 먹줄을 놓는다.

9) lock notch

  notch가 너무 깊어져서 notch 상부의 나무가 약해지거나 notch를 좌우 움직임 없이 고정해 줄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notch

    ㄱ. scribing : 일차scribing, 일차절단, 이차 scribing 까지는 saddle notch와 동일하다. notch scribing후  상단 나무의 lock notch 수컷 두께를 결정하여 이미 그려진 notch scribing 선에 대체로 수평이 되는 네 지점을 표시한다. 표시된 점에 scriber 연필을 대고 레벨을 맞춘후 scriber 침이 가리키는 하단 나무의 지점을 표시한다. 그러면 상단 notch scribing 선 상에 네 지점, 하단 나무에 네 지점, 모두 여덟지점이 생기게 된다.

    ㄴ. cutting : 상단 나무는 180도 돌려 끌질을 한 후 그림에서 처럼 절단한다. notch 상부에는 saddle notch와 마찬가지로 5mm의 settling space를 주어야 하며 체인소로 가공이 어려운 notch 상부는 끌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가공한다.
 lock notch 완성후 조립했을 때 윗나무의 네점을 연결한 면과 아랫나무의 네점을 연결한 면은 정확히 일치하게 되어있다. 만약 이것을 그대로 둔다면, 나무가 건조 수축하여 일어나는 settling을 방해하게 된다. 그래서 밑나무의 면을 5mm정도 더 파준다. 표시된 두 점을 나무의 나이테 방향으로 연결하여 그 연결된 선과 바닥까지를 잘라내 주는데 이때 이렇게 하면 절단후 아랫나무의 암컷 홈이 노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수컷과 암컷을 동일하게 notch 안쪽으로 줄여서 제작해 준다.

 

10) 보 올리기

  다락방이나 2층 방을 만들고자 할 때는 2층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마루보를 올려야 한다. 보의 간격은 통나무 굵기와 바닥재의 구성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1m20c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보는 힘을 많이 받기 때문에 lock notc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출처 : Tong(CrazyMaster)

출처 : 나무과자
글쓴이 : 순돌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