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먹거리여행/건강을 만드는사람들

자귀나무<合婚樹> [요통, 근육통, 타박상]|

시인의마을들 2011. 3. 5. 10:56

//



자귀나무<合婚樹>
 
학명 : Albizzia julibrissin Durazz.
 
과명 : 콩과
 
생지 : 산록 및 계곡의 토심이 깊고 건조한 곳에서 잘 생육한다. 양수이지만 직사광선은 차단하여야 하며 습기가 있고 부식질이 함유되어 있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간혹 동해를 받는 경우가 있으나 뿌리에서 맹아가 재발생한다. 공해에 약한 편이다
 
성분 : 수피- saponin, tannin. 종자- amimo산酸 (albizzin, S-(2-carboxyethyl)-l -systeine), 잎- 비타민C
 
분포 :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에 자생하는 난대성 수종으로 중부 이남, 황해도 이남 등의 표고 50~700m에 분포한다
 
약효 : 관상수로서 정원이나 공원에 식재.
合歡皮(樹皮)- 解鬱, 和血, 寧心, 消腫의 효능. 심신불안, 憂鬱不眠, 肺癰, 癰腫, 나력, 筋骨折傷을 치료.
合歡花(花)- 舒鬱, 理氣, 安神, 活絡의 효능. 鬱結胸悶, 下眠, 健忘, 風火眼疾, 視物不淸, 咽痛, 癰腫, 타박상의 疼痛을 치료.
 
개화 : 6~7월경에 해질무렵 활짝 핀다. 수술은 25개 정도, 상반부는 홍색, 하반부는 백색이며 암술이 보다 약간 길고, 연분홍색의 꽃이 우산형으로 공작처럼 피어 그 아름다움이 1개월간 지속된다
 
번식 : 종자
 
유사종 : 왕자귀나무
 
특징 : 경상남도 울산군 온산면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자귀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 다정큼나무, 송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 면적은 15,074㎡정도이다.
질감이 섬세하며 분홍색의 여름꽃이 드문 시기에 핀다. 콩깍지 모양의 열매는 겨울 내내 달려 있다
 

요통, 근육통, 타박상에 효험있는 자귀나무

 

자귀나무는 붉은 실타래를 풀어놓은 듯한 꽃과 저녁마다 서로 맞붙어 잠을 자는 잎이 매우 인상적인 나무다한자로 합환목(合歡木), 야합수(夜合樹), 유정수(有情樹) 등으로 부르며, 이 나무를 집 앞에 심으면 가정이 화목해진다는 속설이 있어서 정원이나 길가에 흔히 심는다. 자귀나무는 아시아가 원산지로 콩과에 딸린 낙엽관목이다 .

 

키는 5미터쯤까지 자라고 여름철에 우산 모양으로 한 덩어리를 이룬 화려한 꽃이 피었다가 10월에 콩깍지처럼 생긴 열매가 익는다.

 

자귀나무는 껍질을 합환피라 하여 민간과 한방에서 약으로 흔히 쓴다. 자귀나무 껍질은 요통, 타박상, 어혈, 골절통, 근골통 등을 치료하는 훌륭한 약재다.

 

봄이나 가을철에 껍질을 벗겨 흐르는 물에 5일쯤 담가 두었다가 약으로 쓴다. 물에 담그면 대개 약성이 약해지거나 순해지지만 자귀나무 껍질은 반대로 약성이 더 강해진다.

 

또 대개의 약초는 그늘에서 말려야 약성이 제대로 보존되지만 자귀나무는 햇볕에 말려야 약성이 살아난다.

 

자귀나무 껍질은 물에 달여 먹어도 좋고 가루 내어 먹어도 좋다. 가루 내어 먹으면 요통, 타박상 어혈, 기생충증 등에 치료 효과가 높다. 자귀나무는 약성이 순하고 독성이 없으므로 오래 꾸준히 복용해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자귀나무 껍질은 종기나 습진, 짓무른 데, 타박상 등 피부병이나 외과질병 치료에도 효력이 있다. " 껍질을 부드럽게 가루 내어 참기름에 개어서 아픈 부위에 붙이면 신기하게 잘 낫는다.

상처가 곪아서 잘 낫지 않는 데에는 자귀나무 껍질 가루를 뿌린다.

 

자귀나무 꽃도 약으로 쓴다. 술에 담가서 먹을 수도 있고, 꽃잎을 말려 가루 내어 먹을 수도 있다.

 

자귀나무 꽃은 기관지염, 천식, 불면증, 임파선염, 폐렴 등의 치료에 효과가 훌륭하다. 말린꽃을 먹을 때에는 물 한 되에 꽃잎 한줌(20그램)을 넣고 물이 반쯤 되게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술로 담글 때에는 자귀나무 꽃잎 분량의 3∼4배쯤의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어두운 곳에 3∼6개월 두었다가

 

조금씩 따라 마신다. 자귀나무는 산중 수도자들이 즐겨 먹는 약이기도 하다. 정신을 맑게 하고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자귀나무 껍질은 흐르는 물에 5일쯤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려 가루 낸 것을 한번에 밥숟갈로 하나씩 하루 세 번 밥 먹고 나서 먹는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나는 듯이 가벼워지고 다리가 무쇠처럼 튼튼해지며 오랫동안 달려도 지치지 않는다.

 

독성이 없는 약이어서 아무리 오래 먹어도 탈이 나지 않는다. 자귀나무 잎을 태워 고약을 만들면 골절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뼈가 부러지거나 다쳤을 때 자귀나무 잎을 태운 재에 들기름이나 참기름을 섞어 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통증도 없이 신통하게 잘 낫는다. 나무나 껍질, 뿌리를 태워서 술에 타서 먹으면 골절, 어혈, 타박상 등에 효과가 크다.

 

자귀나무 잎을 차로 달여 마시기도 하는데 늘 먹으면 부부 사이의 금실이 좋아져서 이혼을 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다. 그런 까닭에 이 나무를 애정목(愛情木)이라 부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