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도서를 보는 법
제 1 절 설계도서의 개요
전력시설물의 설계도서를 검토하자면 무엇보다도 광범위한 지식과 다양한 경험이 요구된다. 그리고 설계의 진행방법과 설계자의 개성적인 판단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설계도서를 검토한다는 것은 설계자의 의도와 건축주 또는 발주자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기초적인 학문 및 이론과 응용기술을 구사하여 그것을 어떻게 현장여건과 맞게 마무리짓느냐 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설계·감리자는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언제나 그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시공자를 유도·지시해야 할 것이다.
제 2 절 설계도서 보는 법
1. 설계도서의 역할
가. 설계도
전력시설물의 설계도는 기본적인 사고방식, 즉 전기설비의 기본이 되는 기기와 배선의 조합이나 이들의 시방 및 공사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 전기설비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그 기능의 역할이 약속되어 있는 그림, 기호 등을 사용하여 설계도서 또는 시방서 등에 나타내는 것이며, 건축주 및 발주자의 요구나 설계자가 의도하는 바를 시공자에게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여 전기설비의 기능이 완전히 발휘될 수 있도록 명확, 적절하게 표현될 것이며, 또한 공사의 시공지침이 되는 것으로 기기·재료의 수량산출, 공수의 산정 등 공사비의 견적에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것을 말한다.
나. 시공도
설계도서는 공사의 규모·구조·조건 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발주자 측의 예정가격 산출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공사계약상 아주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계약시의 설계도서는 주로 요구되는 설비의 내용·능력·품질 등에 대해서 나타낸다. 기기나 배관·배선 등 시공상의 마무리, 다른 공사와의 관련 등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토나 표현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공사를 실제적으로 시공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불충분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공도(Shop Drawing)가 필요하게 되는데 설계도서는 시공도를 작성할 때의 기본이 되는 것이므로 충분히 그 내용을 파악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표현이 불명확한 부분 등을 발췌 정리하여 문제점을 추출해서 설계자·감리자·시공자 각각의 입장에 따라 해석이 다르지 않도록 충분히 협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또한 그 내용에 따라서는 설계 변경의 대상이 되는 것도 포함되므로 협의 결과의 조정사항·방법·공법 등을 기록해 두어 서로(설계자·감리자·시공자)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2. 전력시설물의 분류
가. 전원설비
사용전원인 수·변전설비, 예비전원설비, 축전지설비, 무정전 전원장치(UPS)설비 등이 있다.
나. 전력공급설비
전원설비와 부하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대용량으로 집합하여 보내는 간선설비와 각 부하에 공급하는 분기회로로서 구분되는데 배선을 배관에 의하거나 플로어덕트에 의하거나 다량의 배선방법인 배선덕트와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거나 대용량의 버스덕트 사용방법 등이 있다.
다. 전력부하설비
전력부하설비는 일반조명설비, 비상조명설비, 옥외조명설비 등의 조명설비와 급수, 배수, 위생, 공기조화, 엘리베이터, 소방용 동력설비 등의 동력설비, 일반비상의 콘센트설비 그리고 전산용, 의료용, 전원 및 패널 히팅, 로드 히팅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결국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라고 할 수 있다.
라. 정보통신설비
정보통신설비에는 확성설비(PA) 건물내부와 외부의 통신 수단인 전화설비 및 데이터 통신설비, 내부특정장소간 통화수단인 인터폰설비 시각에 의한 정보수집 수단인 TV 공청설비 또는 케이블 TV설비, 시간에 대한 정보전달기능의 전기시계설비, 구내의 테이터 통신망 구축용의 LAN설비 등이 이에 포함되며 최근 건축물 등이 인텔리전트화 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마. 방재설비
방재설비란 인재나 천재에 대한 방지 또는 감시 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이것은 화재에 대한 조기발견과 자동통보기능인 자동화재통보(탐지설비), 범죄의 예방감시설비인 방범설비, 건물의 雷擊으로부터 보호하는 설비인 피뢰설비 그리고 고층건축 물에 설치되는 항공장애등 설비 등이 포함된다.
바. 반송설비
사람이나 물품을 운반하는 설비로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텀웨이터 컨베이어 및 슈터(Air-chutter), 곤도라(Gondola)등의 설비를 반송설비라 한다.
사. 감시제어설비
전력시설물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중앙감시설비, 건물의 편의성에 기여하는 승강기, 카리프트, 덤웨이터, 에스컬레이터, 컨베이어, 문서 반송장치 등의 반송설비, 주차장, 자동화체제, 자동주차관제설비, 조명을 일별, 월별 스케쥴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조명 자동제어설비 등이 있으며 특히 건물에 있어서는 건물 자동화설비(BAS : Building Automation System) 등이 있다.
아. 특수장소의 전기설비
최근에 설비가 다양화되면서 여러 가지 설비가 등장하고 있는데 그 예로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수분이 많은 장소의 전기설비와 흥행장, 전기울타리, 교통신호등, 파이프라인 등의 전열장치시설, 심야전력기기 시설, 전기욕기 시설, 수중조명등시설, 전기방식시설, 소세력회로 시설, 엑스선 발생장치 시설 사우나 시설 등이 있다.
3. 건축도와 설비도를 보는 법
전력시설물의 설계도서를 보고 감리를 진행할 때 전기설비는 물론 건축관련 및 다른 설비의 기본이 되는 용어·그림 기호를 이해하는 것이 전제조건이 된다. 또한 건축도·설비도에는 어떠한 설비들이 있고, 그 역할이 무엇이며 전기설비와 상호 시공상 또는 향후 운영상 문제점이 없는지 감리자가 미리 시공회사에게 알려주고 지도하여야 한다.
가. 건축도의 구성
전기설비와 마찬가지로 건축도에는 설계도와 시공도가 있다. 설계도는 건축주의 요구를 충분히 가미하여 설계자의 설계 의도를 전달하는 것이고, 시공도는 설계자의 의도를 충분히 음미하여 그것을 시공자의 입장에서 수정하여 표현하고 개선한 것이다.
건축설계도서를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의장 설계도서(의장설계도 + 시방서)
○ 구조 설계도서(구조설계도 + 계산서 + 시방서)
(1) 의장 설계도
의장(意匠) 설계도는 건물 완성 후의 기능·의장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설계자가 생각하고 있는 건축과 같은 것을 보는 사람의 머리 속에 그려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① 안내도 : 건축현장 부근의 주요 도로·목표건물·건물의 개략적인 형상 등을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 배치도 : 부지 경계선과 경계선 내의 건물의 배치, 문·담장, 도로의 위치, 너비(폭)등, 부지내의 모든 시설을 명기하여 각각의 관계 위치 치수를 표시한 것으로서 반드시 올바른 방위를 나타낸다. 축척은 1/100∼1/300이 보통이다.
○ 평면도 : 건물 각층의 상면(床面)에서 약 1m의 높이로 수평으로 절단하여 이 것을 위에서 보고 도시한 것으로서 방의 배치, 각 실(室)의 용도, 기둥·벽·창 ·출입구·방화문 등의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방화 구획·방연 구획 등까지도 명기 한 것이다. 평면도는 설계도 가운데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서 설계자의 의도, 방침이 충분히 담겨져 있다. 축척은 1/50∼1/200이 보통이다.
○ 입면도 : 건물의 정면·측면·뒷면등의 외관을 표현하고 건물의 높이, 창·출입 구 등의 개구부의 위치, 외벽의 마무리, 지붕의 형상 등을 입면으로 하여 의장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축척은 1/50∼1/200이 보통이다.
○ 단면도 : 건물의 주요한 부분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그 후방에서 보이는 것을 표현한 것으로서 이 경우, 어느 단면을 표현하고 있는가 평면도에 기입되고 있다. 축척은 1/50~1/200이 보통이다.
○ 단면 상세도 : 상세도의 일종으로서 건축물 전체 가운데에서 주요한 부분이 되 는 각 부분의 높이(층높이, 천장·창·바닥 등의 높이) 및 천장속, 내부 구조, 각종 마무리 등을 명확히 나타낸 것이다. 축척은 1/20, 1/50이 보통이다.
○ 각 부의 상세도 : 시공에 필요한 요소 요소의 부분 상세도로서 주로 화장실, 부엌, 계 단 등의 각 부분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축척은 1/20, 1/50이 보통이다.
○ 전개도 : 각 실마다의 벽면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서 벽면을 전개시켜 표시한 도면으로 실내의 디자인, 창·출입구·일용품 등의 배치 형상을 나타내고 실내의 공간 구성을 이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축척은 1/20, 1/50이 보통이다.
○ 천장 평면도 : 천장면을 위에서 투시한 상태를 평면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천장의 재료·형·배치를 나타내고 또한 천장면에서 설치되는 기구(조명기구, 흡출구, 배출구, 스프링클러, 스피커, 감지기, 점검구 등)의 상호 배치를 표시한 것이다. 축척은 1/20, 1/50, 1/100이 보통이다.
(2) 구조 설계도
구조 설계도는 그 건물의 구조에 대하여 구조 계산을 바탕으로 지진력· 풍압력 등에 의한 체크를 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골조의 방법이나 주요한 구성부재의 평면, 단면 등을 나타낸 것이다.
① 빔 평면도 : 빔 평면도는 의장 설계도의 평면도에 해당하는 것이다. 건물의 빔 구성을 표현한 것으로서 기둥·빔·바닥으로 분류 부호를 붙여 주요 치수를 기입하고 상세 치수는 각각의 리스트와 대조함으로써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② 구체도 : 구체도란 의장 설계도의 입면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높이, 층 높이, 기둥·빔의 종류와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③ 구조상세도 : 구조 상세도는 상기의 평면도, 단면상세도에서 표현되지 않는 부분을 표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철근의 종류, 배근상태의 부분 상세를 나타낸다.
④ 구조 계산서 : 구조 계산서는 건축 기준법의 확인 신청을 할 때에 제출하는 것으로서 지진력·풍압력·적설에 의한 하중에 견딜 수 있는가를 나타낸 것이다.
나. 건축도를 보는 법
건축의 설계도면을 보는 원칙은 가장 처음에 건물전체가 완성된 모습을 머리 속에 그려 넣는 것부터 시작하면 된다.
다음에 그 안의 자세한 부분에 대해서는 의미를 이해하고 완성해가면서 기타사항을 생각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평면도·입면도·단면도에 따라 처음부터 세밀한 치수와 완성 등을 생각하지 말고 전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를 먼저 이해하도록 한다. 다음에 각 부분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나서 전개도·상세도 등으로 넘어 간다. 이런 식으로 큰 덩어리를 먼저 파악하고 나서 자세한 사항으로 들어가는 것이 핵심이다.
건축설계도를 보기 위한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설계도에서 최종적인 성과를 머리 속에 정리하도록 한다.
(2) 설계도면 이외의 관련도서(협의사항 등)도 있는 것에 유의한다.
(3) 설계도는 반드시 성공을 충분히 고려해서 작성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기본도로 파악하고 시공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그 다음 검토에 의해 결정한다.
(4) 설계도는 완성된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 기본이 되므로 제작과정의 표현은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기초나 가공방법 등 가격에 영향을 주는 내용에 대해서도 이해하도록 한다.
다. 설비도의 구성과 보는 법
전기설비 이외의 이른 바 설비에는 급·배수 등의 위생설비, 냉난방 등의 공조설비 등이 있다. 이것들의 설비에도 전기설비의 경우와 같이 설계도와 시공도가 있다.
(1) 설비도의 구성
위생설비와 공조설비에 대해서는 전기설비를 설계 및 감리할 경우 중요하므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이해하여야 한다.
위 생 설 비
공 조 설 비
시방서(표준, 특기)
배치도
기기표, 기구표, 범례(凡例)
계통도(배관, 덕트)
평면도(각 층 배선도, 배관도, 배치도, 덕트도)
상세도(기계실, 화장실, 수조(水槽), 파이프 샤프트)
상세도(기계실, 보일러실, 냉각탑, 파이프샤프트, 덕트 스페이스)
자동제어 계장도
이 구성을 보면 거의 변함이 없고, 다만 설비용 자동제어에 관한 도면이 공조설비에는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범례의 기기표ㆍ기구표 : 범례는 공기 조화ㆍ위생 공학회 규격(HASS)의 그림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범례는 표로 정리되어 그림기호ㆍ명칭ㆍ시방ㆍ적요로 분류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기표와 기구표는 기기와 기구의 명칭 그리고 그것들의 정격(定格)ㆍ능력ㆍ대수 및 설치장소를 일람표에 기입한 것이다. 이 표에 전동기(電動機)의 용량이나 전압 등도 제시되고 있으므로 동력(動力)설비의 전동기 시방을 체크할 수 있다.
② 계통도 : 배관 계통도에서는 각 층의 기기와 배관과의 연결을 나타낸 것으로서 급배 수ㆍ냉수ㆍ온수 등의 이송관과 반송관을 그림기호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한 것이다.
덕트(duct) 계통도는 급·배기나 배연 등으로 분류하여 각 층의 기기와 덕트와의 연결 을 나타낸 것이다.
③ 평면도 : 각 층의 기계와 기구의 설치장소, 배관이나 덕트의 경로와 입상(立上) 위치 이외로 급·배기나 급·배수 등을 실행하는 실(室)의 위치도 가입되며, 그것들의 형식ㆍ 치수ㆍ규격 및 개수 등이 아울러 표시되고 있다.
④ 상세도 : 각 층 평면도에서는 표현하기 어려운 기계실이나 화장실 등에서 기계와 기구의 수납 및 배관 방법 등을 축적 1/50∼1/20 정도로 그린다.
(2) 설비도를 보는 법
전기설비의 시공도를 보거나 설계시 또는 감리시에는 설비도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거기에서는 그림기호를 알 수 있는 동시에 설비의 작동을 알지 못하면 안된다. 그것들에 관해서는 설비관련 전문서에 상세히 쓰여져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전기설비를 설계 및 감리 시에 어떤 설비도를 참고하면 되는가를 설명한다.
① 기기표 : 동력설비의 전동기나 히터 등의 전기적 시방의 점검에 사용한다.
② 계통도 : 급수 인입관, 가스 인입관 및 다른 옥외 매설관의 경로를 확인하고, 전기관 계의 인입관의 취합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③ 평면도 : 각 층에 설치되는 기계ㆍ기구를 확인하고, 배선의 경로나 배선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한다.
④ 상세도 : 각종 기계 장치에 부가되는 계기류(計器類), 각종 배관ㆍ덕트류의 위치를 평면도나 단면도에서 확인하고 동력반의 설치장소, 배선의 경로 및 배선방법을 시공상 보전상에서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한다